[전북의 창조경제를 말한다]<2> 새만금, 창조경제 꽃 피우자
[전북의 창조경제를 말한다]<2> 새만금, 창조경제 꽃 피우자
  • 박기홍기자
  • 승인 2013.05.12 10: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새만금, 창조경제 꽃 피우자

새만금은 더 이상 바다가 아니다. 지난 2010년 4월 27일 내부 방조제가 준공돼 새로운 땅이 돋아나고 있다. 현재 개발 가능한 내부토지는 2억8천만㎡의 55%에 해당하는 1억5천500만㎡에 이른다. 서울 규모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광활한 땅이 창조경제를 기다리고 있다. 지난 20년간 투자한 돈은 보상과 방조제 건설에만 2조9천억 원이다.

신천지가 새록새록 돋아나며 각 분야의 향후 5년간 사업도 착착 진행될 전망이다. 농업용지 개발을 위한 방수제 공사는 2015년에 완료되고, 같은 해 상반기 중에 조성공사를 착공할 예정이다. 기반시설 역시 새만금∼전주간 고속도로가 2016년 초에 착공돼 2020년에 대미를 찍을 것으로 보인다. 내부 간선도로인 동서 2축 역시 작년 말 예비타당성 조사가 완료됐고, 올해 다시 타당성 조사에 들어간 후 착공하게 된다면 2016년에 첫 삽을 뜨게 된다.

‘준비된 공간’은 창조경제를 위한 새만금의 가능성을 활짝 열어주고 있다. 국가의 미래 먹거리 생산과 신산업 창출을 가능하게 만드는 드넓은 공간은 새만금 외에 별다른 대안이 없다. 대규모 부지에 창조도시를 건설할 수 있고,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아이디어 산업을 꽃피울 수 있다. 새만금에 창조경제를 이식할 첫 번째 이유다.

산업간 융합과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은 두 번째 이유다. 새만금엔 신재생에너지와 환경생태, 과학연구, 농업이 어우러져 있어 정보통신기술(ICT)을 통한 융·복합이 가능한 까닭이다. 여섯 가지 용도로 동시에 진행되는 새만금 특성은 산업간 융합과 부가가치 창출에 최적지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창조경제가 ICT를 활용한 융합과 복합을 시발점으로 삼고 있어 광활한 땅과 창조적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새만금 최적지론은 타당성을 갖고 있다.

서해안권의 연계 가능성과 동서를 묶을 수 있는 현실은 ‘새만금 창조경제’의 세 번째 이유가 되고 있다. 새만금은 서해안의 중심지이다. 위로는 인천과 평택이 있고 아래로는 목포를 끼고 있어 언제든지 새만금을 중심으로 연계 가능하다. 또 서해안 제2 고속도로와 서해안 철도 건설이 계획돼 있어 언제든지 새만금을 찾을 수 있는 접근성도 뛰어나다. 동서 횡단 고속도로, 횡단철도의 기착점이자 종착점이 바로 새만금이라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전북도 김광휘 새만금환경녹지국장은 더 큰 관점에서 ‘새만금 적지론’을 주장한다. 김 국장은 지난 10일 전북대 사회과학대학에서 열린 ‘전북도 발전방향과 대안 모색’ 공동학술회의에 참석, “새만금은 환황해 경제권의 상생과 협력 거점이다”며 “농업과 산업, 관광, 도시 기능을 버무린 글로벌 경제권의 주요 거점화 적지”라고 강조했다. 중국 칭다오와 최단 거리에 있고 비행기로 4시간 안에 도착할 수 있는 인구 100만 명 이상의 도시가 여러 곳에 달할 정도로 환황해권의 중심지라는 말이다.

새만금 창조경제 구심점 역할을 위한 과제도 적지 않다. 우선 동서 통합형 기반시설을 조기에 구축하는 일이 발등의 불로 떨어져 있다. 새만금과 대구 간 고속도로를 하루빨리 연결하고 김천 간 동서횡단 철도 역시 조기에 구축해야 한다. 지역간 산업간 연계·협력도 중요한 과제임이 틀림없다. 세종시와 대구, 광주, 전주, 새만금을 연구개발 벨트로 묶어내는 일이 필요하다. 김광휘 국장은 “새만금·전주 지구는 식품과 관광으로 특화할 수 있다”며 “전주의 한옥마을과 연구개발 특구,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고군산군도의 비경, 새만금 과학연구용지를 엮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 큰 시각으로 보면, 충남의 대덕연구단지와 새만금, 전주·완주 혁신도시를 잇는 ‘과학 델타(삼각형) 벨트’를 구상할 필요도 있다. 학계의 한 관계자는 “국가가 조성하는 창대한 땅에 창조경제의 대파노라마를 연출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며 “우선 새만금을 창조경제의 전략기지로 삼겠다는 국가적 의지와 예산 뒷받침을 선언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공부문의 우선 투자 방안도 서둘러야 한다. 세계적인 경기불황의 그늘이 아직 가시지 않아 민간자본 유치에 한계가 있다면 공공투자를 서둘러 기존의 투자가 사장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공공부문이 참여해 매립공사를 우선 추진하고 공영개발 방식으로 국내외 대기업이 들어올 수 있도록 기반을 갖춰 놓아야 한다는 말이다. 글로벌 초우량 기업 삼성이 새만금에 투자하겠다고 밝힌 만큼 계획을 앞당길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공공개발을 적극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라는 지역 정치권의 목소리도 커가고 있다.

한국의 산업화 1기는 울산과 여수, 포항과 구미 등 제조업 중심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가능했다. 산업화 2기는 대덕 연구단지와 경제자유구역 조성, 과학비즈니스벨트를 통해 IT산업과 소프트웨어 중심의 고급 일자리를 창출했다. 그렇다면, 산업화 3기는 어떻게 진행해야 할까. 이런 질문에 전북도는 과감히 새만금을 창조경제 실현의 중심추로 삼아 국가적 성장동력을 확충해 나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기홍기자 khpark@domin.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