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이방인 다문화가정, 녹록치 않는 삶
아직 이방인 다문화가정, 녹록치 않는 삶
  • 장정철
  • 승인 2009.10.12 18: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젠 다문화시대> <1>전주다문화가정 실태
‘이제는 우리 사회도 다문화시대’

전북지역도 이제 다민족, 다인종 사람들이 한데 어우러져 살아가는 지역이 됐지만 아직도 이주여성(외국인며느리)이나 외국인노동자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싸늘하기만하다.

외국인 이주노동자가 국내에 유입된지도 벌써 16년째를 맞고 있으며 한국으로 결혼을 온 외국인 며느리(이주여성)도 날이 갈수록 증가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들이 지역사회에서 하는 역할에 비해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지원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어서 우리사회의 구성원으로 뿌리를 내리는데까지는 갈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현재 이주노동자들은 도내 3D업종에서 국내 제조업체의 생산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주여성들 역시 도내 농산어촌 곳곳으로 시집을 와 자식을 낳고 어엿한 가정을 꾸리고 있다.

주로 필리핀과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태국, 중국, 몽골, 일본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아시아권 국경을 넘어 결혼하는 전북 속 ‘온누리안(국제결혼가정)’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보는 전북도와 전북기자협회의 ‘다문화가정 지원 MOU’ 체결에 따라 앞으로 3회에 걸쳐 전주시 다문화가정, 이주민시책‘에 대한 기획보도를 할 계획이다. <편집자주>

도내 국제결혼가정은 총 2,700여 세대로 피부색이 다르고 문화와 언어가 다른 외국여성과의 결혼이 전북 지역에서도 이제는 더이상 낯선 일이고 남의 일만은 아니다.

전주에만 결혼이주여성이 1천344명이며 다문화가정 자녀도 무려 949명에 달한다.

이주여성들의 국적을 보면 중국이 548명으로 가장 많고 조선족 281명, 베트남 274명, 필리핀 101명, 일본 48명, 태국 9명, 몽골 8명 등으로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들 이주 여성들의 삶은 그리 순탄하지는 않다.

남편 한 명 믿고 한국으로 건너왔지만 언어 소통의 장벽은 생각보다 크고 결국 언어의 문제는 자녀교육 문제로 직결되면서 부부 불화, 고부 갈등, 아이의 학교 적응문제 등 악순환이 반복된다.

학교에서 아이들은 단지 피부색이 다른 것만으로도 이질감을 느끼고 있으며 의사소통마저 원활치 않아 학교생활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와 다른 피부, 눈동자, 언어를 가진 아이들은 자칫 놀림감의 대상이 될수 있는 것이다.

전주지역은 다행히 전주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운영하면서 한글 교육, 문화이해교육, 상담, 가족교육 등 사회적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이들을 지역사회로 끌어안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이주여성들이 느끼는 체감온도는 아직 낮은 것이 사실이다. 이들이 자국 현지에서 한글교육이나 문화, 관습에 대한 충분한 교육을 받지 못한 채 한국으로 급하게 오는 것을 감안하면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지원정책은 아직 걸음마수준이다.

특별한 지원책이나 상시적으로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해주는 곳은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필리핀이나 베트남 등 현지에서는 국제결혼이나 노동자로 출국하는 자국민들에게 제대론 된 교육을 하지 못한 채 형식적인 절차를 밟고 있으며 상당수가 불법 브로커나 중개업체 등을 통해서 국내로 송출되는 경우가 많은 것도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필리핀 출신의 이주여성 c씨는 남편의 폭력으로 고통받아 이혼을 한 후 최근 본국으로 돌아갔다. 그에게 한국은 기회의 땅이고 행복의 땅이 아니라 폭력만이 난무하는 곳에 지나지 않는다.

아직도 가정폭력을 당하고 남편의 알코올 중독, 무능력 등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으로 고통받는 이주여성들이 많다. 물론 결혼을 한 후 자식들을 낳고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는 이주여성들도 있지만 상당수는 어려운 삶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며 심지어 시댁에서 이주여성들이 도망가지 않을까 걱정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전주시 이주민지원시책 자문위원인 천호성 전주교대 교수는 “이주여성들을 지원하고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을 구제할 컨트롤 타워가 없다”며 “지자체는 가족통합교육을 하고 찾아가는 서비스를 펼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우리 지역사회가 이주 여성들을 공생하는 우리의 가족과 친지이자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안정적으로 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스템을 마련하도록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장정철기자 jang@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