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문화예술의 균형발전
지역 문화예술의 균형발전
  • 태조로
  • 승인 2004.06.29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1세기 문화의 시대에는 경제발전과 문화기반의 정착이 병행되어야 한다. 다행이 현 정부가 지역의 균형발전을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삼으면서 지역문화의 발전에도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다행한 일이다.

경제와 문화는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 경제 발전이 없이 문화가 성장할 수 없으며 문화적 바탕이 없는 경제성장은 견실하지 못하다. 문명비평가 기 소르망은 ‘21세기에는 문화적 힘이 경제력을 선도 할 것’이라며 전에 한국에 경제위기가 왔던 것도 결국 문화적 이미지가 뒷받침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분석을 한 바 있다.

경제위기가 왔을 때 문화 이미지가 튼튼하면 그것은 일시적인 경제의 어려움이 되겠지만 그 반대일 경우엔 사회 기층이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문화는 국민정신을 만들어 가는 작업인 만큼 정책의 우선 순위권에 들어야 한다.

  중앙과 지역의 문화편차 심각

진정한 의미의 선진국은 ‘문화의 대중화, 문화의 평준화’가 이루어져 있는 나라다. 예를 들어, 프랑스의 문화전략은 문화활동의 전국적인 저변확대를 통한 문화예술의 생활화를 정착시키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구축했으며 모든 국민을 문화시민으로 만들 수가 있었다. 60년대 문화장관으로 유명했던 앙드레 말로는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문화적 향유”를 부르짖었다. 그래서 문화를 통해 사회적 갈등과 괴리를 치유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하였다.

그런가하면 미국은 일찍부터 효율적인 공공부문 문예 진흥 정책과 기업후원시스템을 통해 문화예술의 기반을 다지는데 역점을 두었다. 문화사업이 근본적으로 적자구조의 틀을 탈피할 수 없다는 판단아래 정부와 기업들이 앞장서서 예술 활동의 진흥에 나섰다. 이러한 사회풍토 속에 중앙과 지역의 예술가와 예술경영자들은 보다 많은 국민들이 예술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근대화과정에서 야기된 모든 분야의 중앙 집중으로 문화예술의 대중화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중앙과 지역의 문화적 편차가 극심하여 지역의 문화적 기반은 취약하기 짝이 없다. 따라서 지역의 문화예술 활동은 주변적이고 영세성을 면치 못해 왔다. 지방자치제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에 중앙정부가 문화예술에 지원을 해 왔지만 이는 오히려 관변 의존심만 부추기는 결과를 낳았으며 상응한 경쟁력을 키우지 못했다.

이는 아시아에서 상위권에 드는 음악시장이라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민간분야의 예술경영이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데서 단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서 중앙과 지역의 균일한 문화예술 기반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이 자생력을 갖추고 있는 것과 잘 비교되고 있다.  

 문화 자원과 역량의 분산 절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지역의 문화 분권을 주창하며 중앙을 제외한 전국의 문화예술 공간을 위해 금년에 창작 프로그램 공연 기금을 조성하는 것은 지금까지 중앙 중심으로 편중되어 있던 문화적 자원과 역량을 지역으로 분산시키려는 의욕을 보이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단지 이런 정책이 일회성 행사가 아닌 참다운 의미로 모든 국민의 문화적 소양을 키우고 나아가 침체된 지역의 문화예술을 진작시킨다는 큰 과업의 시각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각 지역이 처한 환경, 이를테면 경제기반이나 시장규모를 고려해 자원을 안배하는 지혜를 발휘해야만 한다. 이번이야말로 지역문화발전의 백년대계(百年大計)를 위해 문화정책의 시각을 중앙이 아닌 지역중심으로 바꾸는 전환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각 지방자치단체에 보다 많은 권한과 재원을 이관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문화를 육성시키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하여 지역의 문화예술이 골고루 발전하여 상호 유기적인 연계성을 가질 때 한국의 문화가 올바로 자리 잡게 되며 진정한 의미의 문화국가로 발돋움하게 될 것이다.

이인권(한국소리문화의전당 대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