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음식은 정서를 낳고 정서는 문화를 낳는다
13. 음식은 정서를 낳고 정서는 문화를 낳는다
  • 이원희
  • 승인 2006.04.23 14: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음식과 관련하여 이런 우스개 소리가 있다. 중국인들은 하늘에서는 비행기, 바다에서는 잠수함만 빼고 다 먹는다는 말. 그래서 중국인 하면 뚱뚱보를 떠올리는가 모르겠다. 만만디(徐徐)나 차부둬(差不多)와 같은 정신은 그들이 먹는 음식과 관련이 깊은 성싶다. 음식에는 제각각 고유의 맛이 있기에 입맛을 돋우는 거라면 그 어떤 것도 음식이 된다. 중국인들은 꾸워즈라는 중화팬을 바짝 달궈서 볶음과 튀김 혹은 삶거나 찜을 해서 먹는다. 그들은 대륙에서 생산되는 풍부한 돼지고기 기름을 사용해 꾸워즈라는 만능조리기구를 가지고 만들어내는 꾸워즈 음식문화가 중국음식의 핵이다. 따라서 기름기가 많은 탓에 차문화가 발달되었다. 차는 혈압강하를 돕는다. 중국인들의 오랜 약식동원(藥食同源)의 사상 즉 음식의 약리적 효과를 십분 활용하는 사례다. 한편 일본인들의 주류음식은 회나 스시라는 생선초밥이다. 조리보다는 날것을 선호하다보니 그들은 성깔이 곱지 못하다. 진드근한 인내심이 없이 발끈하는 그들의 정서가 날것을 먹는 음식과 무관하지 않다. 이처럼 음식문화는 정신과 기질을 낳고 이것이 문화의 질적 특성을 형성하는 토대가 된다.


 그러면 우리는 어떤가. 간장, 된장, 고추장, 김치, 젓갈, 장아찌가 모두 염장 발효식품이다. 옛날에는 식초나 민속주도 가정에서 만들어 먹었다. 대체적으로 우리의 주종음식은 삭임의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삭임과 풀림, 여유와 은근을 우리의 정서적 특성으로 꼽는다면 이는 필시 음식문화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으리라. 푹 고아져 웅숭깊은 소리를 소리맛의 제일로 치는 판소리가 그렇고 신명난 흥과 애절한 한이 함께 스며있는 육자배기, 민요, 잡가, 춤사위 등이 그렇다. 어디 그뿐이랴. 피 맺힌 한도 세월이 어느 정도 지나면 소망의 한으로 진화된다. 이른바 원한(怨恨)이 원한(願恨)으로 발전된다. 이것이 한국인의 정서적 특징이다. 우리의 음식이 발효의 삭임과정을 통해 완성되듯이 우리의 정서 역시 음식처럼 삭임을 특성으로 한다. 음식과 문화가 거멀못의 관계가 있음은 바로 이를 통해 입증된다.


 음식과 정서의 상관성은 가정에서도 마찬가지다. 인스턴트식품 위주로 식탁을 차리는 가정의 아이들은 진드근함이 부족하고 공격적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와 흥미를 끈 적이 있었다. 어머니가 음식을 정성스럽게 만들어 식탁에 올리면 아이들은 음식을 먹는 게 아니라 어머니의 손끝에서 빚어지는 사랑과 정성의 정서를 먹는 셈이다. 이런 아이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모성과 유년의 살가운 추억을 음식을 통해 간직하게 된다. 음식이 딱히 정서 형성에만 관여하는 것은 아니다. 지적 능력을 형성하는 데도 매우 중요하다. 오색오미를 골고루 장만해 먹을 경우 우리의 신체는 두루 발육되며 음식을 꼭꼭 씹어먹는 과정에서 뇌에 산소공급이 원활해져 뇌활동이 왕성해진다. 음식은 끼니를 때우는 단순한 먹거리가 아니라 지적, 정서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주는 문화창조의 중요한 원동력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