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의대 증원,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김형준 김형준휴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승인 2024.03.25 18: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형준 휴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
김형준 김형준휴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

재래식 구들방에 아랫목은 뜨거운데 윗목은 차갑고 외풍도 세어서 난방이 제대로 안 된다면 어떻게 수리해야 할까? 아궁이에서 불을 더 많이 지펴서 열을 올리면 일부 온기가 올라가겠지만, 아랫목을 타기만 하고 윗목으로 제대로 온기가 전달이 안 되는 경험을 많이 했을 것이다. 무작정 불만 지필 것이 아니라 온수 보일러 시스템이라는 최신 공법을 이용해 파이프를 윗목까지 설치하고 단열재로 시공하여 이런 문제를 손쉽게 해결하는 방법이 가장 옳은 해결책일 것이다.

현재 필수의료와 지역/지방의 의사가 부족하여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대책 없이 의대 정원만을 늘리겠다는 정부의 방안은 한마디로 윗목에 온기를 보내기 위해 아궁이에 더 많은 불을 지펴 방바닥만 태워 문제를 키우는 방법이라는 것이 의료계의 입장이다. 그렇다면 왜 의사들은 정부의 일방적 의대 정원 증가를 반대하는 것일까? 그 질문에 몇 가지 답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질문은 ‘과연 의사는 부족한 것이 맞는가?’이다. 한국의 인구 천 명당 의사 수는 2.5명으로 OECD 평균 3.7(미국/일본 2.6, 노르웨이 5.3)명에 비해 부족한 것은 사실이다. 또한 서울은 인구 천 명당 의사 수가 3.45명인데 반해 경북은 1.4명, 충남은 1.5명에 불과하는 등 지방의 의사 수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며, 또한 코로나 팬데믹으로 알려진 감염내과 전문의는 고작 277명, 선천적 기형을 수술하는 소아 외과의는 50명도 되지 않는 등 필수의료 분야 의사는 더욱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의료계는 이는 단순 통계의 함정일 뿐 현재 수치보다는 전반적인 흐름을 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2009년 의사 수는 천 명당 1.7명이었던 것에 비하여 한국은 OECD 국가 중 가장 빠르게 의사 수가 증가하고 있고, 유래를 찾을 수 없을 만큼 출산율이 감소하는 한국의 실정(2009년도 신생아 45만, 2023년 신생아 23만, 14년 만에 반절이 줄었다)을 반영하면 10년 뒤에는 오히려 OECD 평균을 웃돌 것이라고 주장한다. 한국은 의사 수만 OECD 평균보다 낮을 뿐 한국 의사 1인당 일일 진료 횟수는 OECD 1위인 15.7회(OECD 평균 6.8), 인구 100만 명당 병상 수는 일본(13.1병상)에 이어 2위(12.3병상), 평균 기대수명 역시 일본에 이어 OECD 2위(18.5일)로 모든 지표가 OECD 최상위권으로 결코 의료서비스의 공급이 부족하다고 할 수는 없다. 오히려 문제는 의사 수가 아니라 GDP 대비 의료비로 한국(8.1%)의 비율은 OECD 평균(8.8%)에 비해 아직도 저조한 수치이며, 미국(16.8%), 스위스(12.2%), 독일(11.2%), 프랑스 (11.22%), 일본(10.9%), 영국(9.8%) 등 의료수준이 비슷한 주요 국가보다 턱없이 국가가 지출하는 의료비는 부족하다. 한마디로 적은 의사 수와 적은 비용으로 가장 많은 환자를 보면서 모든 지표가 OECD 최고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했다는 것이다. 결국 문제의 핵심은 의사의 절대 수가 아니라 필수의료와 지방의 의료 인력이 부족한 의료자원의 공정한 분배와 의료비의 충원이 더 시급한 문제라는 점이다.

둘째 질문은 ‘그렇다면 왜 의사들은 필수 의료의 분야를 기피 하여 위기를 가져온 것인가?’이다. 그 원인은 무엇보다도 필수 의료분야의 낮은 수가에 있다. 한국 건강보험수가는 미국을 100으로 볼 때 48%, OECD 국가의 평균 72% 정도로 매우 적다. 이 점은 정부도 인정하고 있는 점이다. 단적인 예로 2017년 기준 자연분만 수가는 미국이 1만 1,200달러이고 한국은 십 분의 일도 안 되는 1,040달러에 불과하다. 환자를 볼수록 손실이 커지는 구조이다. 그렇다면 그동안 의사와 병원은 어떻게 버텨온 것일까? 그 비법은 ‘박리다매’와 건강보험의 통제에 벗어난 ‘비급여 진료’에 있었다. 한국인 특유의 부지런함과 ‘빨리빨리’의 정신으로 엄청난 환자 수를 진료하며 손해를 벌충한 것이다. 그러나 출산율이 감소하고 지방의 인구가 줄면서 이제는 더 이상 박리다매 방식으로는 한계가 온 것이다. 지방을 떠나 수도권으로 의사의 이동이 이뤄지고, 출산율의 충격을 받은 소아과, 산부인과부터 무너지기 시작한 것이다. 상대적으로 증가하던 비급여 진료 역시 문 케어(전 정권의 보장성 확대 정책)로 급여화되고 실손보험에 의한 비급여 진료의 확대되면서 건강보험 재정의 부실과 보험사의 손실로 정부와 보험사가 비급여 진료에 대한 통제를 시작하면서 필수의료에 대한 기피 현상을 더욱 부추긴 것이다. 또한 필수 의료분야가 의료사고나 분쟁으로 인한 민·형사상의 부담이 크다는 점도 기피의 큰 원인이 되고 있다. 그래서 의사들은 근본 원인인 필수의료에 대한 불합리한 보상제도와 지방 인구소멸에 따른 지방의 의료환경개선,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경감 등 문제가 많은 의료시스템에 대한 해결방안이 선행되어야 적절한 의사 수의 증가도 그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주장이며 의대 증원에 대한 무조건인 반대가 아니다. 결론적으로 정부는 근거가 없는 일방적인 의대 증원 안을 폐기하고 원점에서 협상과 대화를 시작하여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김형준<김형준휴정신건강의학과의원 원장/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