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시대 열린다…이제는 ‘문화재’ 대신 ‘국가유산’으로
국가유산청 시대 열린다…이제는 ‘문화재’ 대신 ‘국가유산’으로
  • 김미진 기자
  • 승인 2024.02.25 1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유산 미래비전 발표하는 최응천 문화재청장. 연합뉴스 제공
국가유산 미래비전 발표하는 최응천 문화재청장. 연합뉴스 제공

문화재청이 국가유산 체제로 탈바꿈한다. 오는 5월 17일 ‘국가유산청’으로 출범하며 조직과 제도도 정비한다.

23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1962년 문화재보호법 제정 이래 60년 이상 문화재 체제를 유지해왔지만 문화재는 ‘과거 유물’이나 ‘재화’의 느낌이 강하고, 협소한 개념 탓에 정책 적용 등에서 한계를 드러냈다는 것이다. 이를 극복하고자 내세우는 유산(遺産·Heritage)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아우라는 국제기준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국가유산의 새로운 역할과 가치를 정립하고자 원형유지는 가치전승으로, 규제는 활용과 진흥, 문화재는 국가유산으로 전환된다. 개편된 국가유산 분류체계에 따라 문화·자연·무형유산으로 각 유형별 특성에 맞는 보존과 전승을 강화한다.

문화유산 분야에서는 전통재료의 안정적인 수급관리와 품질관리를 위해 올해 9월 경북 봉화지역에 ‘국가유산수리재료센터(가칭)’를 개관하고 전통재료 인증제도를 처음으로 시행한다.

지난해 제정한 ‘자연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자연유산 분야의 종합적·전문적인 보존·연구·활용을 위해 ‘국립자연유산원’ 설립을 추진한다. 전통조경 표준품셈 등 관리기준을 마련하고, 전통조경 공모전·실감형 콘텐츠 전시 등 홍보를 통해 국내·외에 한국 전통조경의 우수성을 확산한다.

무형유산 분야에서는 다양성과 포용성을 기반으로 무형유산 전승 저변을 확대하고 올해 최초로 국가무형유산 우수 이수자를 대상으로 전승활동 장려금을 신설(270여 명 대상, 연간 16억 원)해 안정적인 전승활동을 지원한다.

국가유산 분야에서 글로벌 협력을 선도하고 국가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일에도 집중한다.

국제사회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해 유네스코 유산 신규 등재를 확대하게 되는데, ‘한국의 장담그기 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여부가 올해 말 결정될 예정이다. 올해 등재 신청하는 ‘반구천의 암각화’(세계유산)와 ‘한지제작의 전통지식과 기술 및 문화적 실천’(인류무형유산)이 성공적으로 등재될 수 있도록 국내외 역량을 집중한다는 각오다.

 

김미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