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또는 따로인 마음과 몸
함께 또는 따로인 마음과 몸
  • 나아리 전북영화인협회장
  • 승인 2024.02.05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아리 전북영화인협회장

 필자는 과거 방송에서 “마음과 몸은 따로 놀지 않는다. 함께 움직이는 것이다.” 라는 이야기도 들어봤고 “마음과 몸은 따로 논다.” 라는 이야기도 들어봤다. 이러한 멘트를 접하고 마음과 몸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다.

  인간은 살면서 마음과 몸이 척척 잘 맞아 하나일 때도 있고 마음으로는 집안일도 깨끗하게, 먼지 하나 없이 살고 싶은데 실제 몸은 마음과 정 반대로 한없이 게을러져 누워만 있을 때 마음과 행동 사이에서 하나로 일치시키지 못해 괴로울 때가 있다.

 이렇듯 마음과 몸은 둘로 나뉠 때도 분명히 존재한다. 하지만 한 사람의 속마음은 그 사람의 언어나 몸의 표현에서 읽혀지는 것과 정 반대의 상황일 때도 많다.

 예를 들어 한 스승에게 두 명의 제자가 있는데 첫 번째 제자는 스승을 공경하는 마음이 진심이고 두 번째 제자는 스승을 공경하는 마음이 아니라 스승에 대한 불만만 가득하다.

 하지만 첫 번째 제자는 타고난 성격상 스승을 봐도 아무런 표현을 하지 않고 무뚝뚝하게 인사도 잘 하지 않는 반면 두 번째 제자는 스승을 볼 때마다 깍듯이 대하고 공경한다는 언어와 몸의 표현을 자주 한다면 스승이 봤을 때 첫 번째 제자는 본인에게 무관심하고 두 번째 제자는 본인을 공경한다는 믿음이 생길 것이다.

 그럼 두 번째 제자는 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대로 행동이 행해지지 않고 반대로 행동을 했을까? 사람의 몸은 자신도 모르게 자신의 진심대로 행해지지 않을 때가 잦은 법이다. 데카르트의 상호작용론을 살펴보면 몸과 마음은 각각 독립적, 그 둘은 두뇌의 ‘송과선’에서 만나서 서로 영향을 준다고 했다.

  혼자만이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이 아니고 사람과 사람이 함께 유기적으로 얽혀 사는 세상이기에 이 ‘송과선’에서의 만남이 여러 원인에 의해 타협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것이다. 그 타협 또한 자신의 의지이지만 예외로 송과선에서의 만남의 결과가 자신의 의지대로 되지 않는 상황도 우리는 살다 보면 맞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마음 심’적으로 당황하거나 극도의 긴장감을 느끼는 상황이 되면 송과선에서의 합의대로 내 몸이 움직여지지 않을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사나운 맹견이 달려오면 마음으로는 “빨리 도망가야해”라고 외치지만 너무 무섭고 당황하여 발이 안 움직이는 상황이 되는 경우가 있다. 배우를 예로 들어보자 배우가 작품을 위해 카메라와 스텝들 앞에 서게 되면 공황장애를 겪거나 나도 모르게 극도의 긴장을 할 때가 있다.

 그런 상황이 됐을 때에는 평소에 친구들과 편하게 걷고 말하고 웃던 행동들이 카메라와 스텝들 앞에서는 평상시처럼 안되고 마음과 몸이 따로 놀며 송과선과의 합의는 무시되고 전혀 몸이 통제되지 않는다. 이럴 때 배우의 육체란 가장 무서운 원수가 되는 것이다.

 배우는 원수 같은 몸이 아닌 가장 친한 벗이자 악기처럼 자신이 마음먹은 대로 육체를 조율할 수 있어야 하기에 이러한 돌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송과선의 합의를 완벽하게 이끌어 내기 위하여 배우는 주의집중 훈련을 한다.

  주의집중 훈련은 배우의 마음과 몸을 하나로 통일시키는 훈련법 중 하나이다. 일반인들도 검색을 통해 손쉽게 주의집중력 훈련법을 접하고 익힐 수 있으니 어떠한 곳에서 어떠한 사람을 만난다 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담대하게 마음과 몸을 자신의 의지대로 행할 수 있는 주의집중 훈련을 해보는 것도 좋을 거 같다.

 나아리 <전북영화인협회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