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맞춤형 대책’ 필요
건설안전사고 저감을 위한 ‘맞춤형 대책’ 필요
  • 왕영관 기자
  • 승인 2023.12.07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6일 전주시 경원동에서 공사중인 건물이 무너져 인부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119구조대원들이 매몰자를 꺼내기 위해 잔해를 치우고 있다.장태엽기자 mode70@
기사와 관계 없음.   전북도민일보 DB.

“건설업의 사고사망자 중 다수가 민간공사 현장, 50억원 이하의 소규모 사업에서 발생해 50억원 미만의 소규모 현장에 대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은 7일 CSI(건설공사안전관리종합정보망) 자료를 활용한 국내 건설업 사망사고 심층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발생한 건설업 사망사고자 739명 중 민간공사 현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전체의 69%, 공공은 31%였다. 공사 규모별로는 50억원 미만의 소규모 공사가 전체 사망사고자의 48%를 차지하며, 300억원 이상의 대규모 공사가 32%를 차지했다.

건설업 사망사고 인과관계 관련 분석 결과 떨어짐(50%), 깔림(19%), 물체에 맞음(9%)의 세 가지 사고유형이 전체 사고의 78%를 차지했으며, 세 유형 모두 ‘작업자의 단순과실’이 주요 원인이었다. 이 중 ‘떨어짐’ 사고는 가시설이, ‘물체에 맞음’과 ‘깔림’ 사고는 건설기계가 주요 사고객체로 분석됐다.

발주유형과 공사 규모별 분석 결과 각각의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50억원 미만의 민간 소형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떨어짐’으로 인한 사고사망자 비중이 압도적으로 컸다.

이 밖에도 작업프로세스 중 설치작업과 해체작업에서 발생하는 사고사망자 비중이 높았으며, 설치작업과 해체작업 모두 공공보다는 민간공사 현장에서 더 높은 비중을 보였다.

건산연 이지혜 연구위원은 “건설업 사망사고는 발주유형, 공사규모 등 사고 특성별로 다르게 나타나며 사고유형에 따른 원인 등도 모두 다르다”며 “사망사고와 관련한 다양한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안전관리 방안을 세분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CSI 자료가 향후 건설사고 저감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누락되는 정보 없이 발생 사고에 관한 상세 데이터가 입력되어야 하며, 추가적인 자료 수집도 필요하다.

왕영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