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 절반 문닫는 대학의 절박한 현실
2040년 절반 문닫는 대학의 절박한 현실
  • .
  • 승인 2023.10.22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학들의 절반이상이 오는 2040년 문을 닫아야 할 운명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왔다. 학령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예견된 일이긴 하나 충격이 아닐 수 없다. 특히 비수도대학의 붕괴는 지역소멸위기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지자체와 대학들의 공동 대응 노력은 물론 통폐합이나 정원 감축 학사과정의 대대적인 개편등 대학들의 근본적인 자구책 마련이 절박하다.

한국경제연구원의 ‘지역인재육성과 경제활성화를 위한 지방대학 발전 방안 보고서’는 지방인구 감소와 청소년층의 수도권 집중현상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지방대학이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행안부가 지난2021년 기준 인구 감소지역으로 지정한 전국 89개 기초지자체중 도내 10개 시군을 포함 95%(85개)가 비수권이다. 같은해 수도권 일반 4년제 대학의 신입생 미충원율은 평균 5.3%(1만여 명)인 반면 비수도권 4년제 대학의 미충원은 수도권의 두배(10.8%,3만명)나 됐다.

지난해 출생아수는 25만명으로 대학입학정원 47만 명이 현행대로 유지될 경우 2040년 전국대학의 50%이상 신입생을 채울 수 없게 된다. 지방대학 벚꽃엔딩 검증을 위해 전국 모든 대학의 주소지와 위도 경도를 반영한 거리를 산출 후 거리에 따라 2023학년도 대학 신입생 경쟁률과 충원율 졸업자 취업률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과 지방간의 간극은 천양지차였다.

서울지역 대학의 경쟁률은 최대 20대1 내외인 반면 수도권을 벗어나 충청 및 대전지역의 경쟁률은 10대1도 넘기기 어려웠다. 보고서의 지적대로 인구감소와 지역소멸로 인한 지방대학의 위기는 단순히 지방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 생존과도 직결되는 국가적 난제가 아닐 수 없다.

지역인구 감소와 유출을 완화할 수 있는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정과 균형발전 정책 추진 대학 재정투자 확대등 정부차원의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지역인재양성과 취업확대 정주여건 개선 등 선순환 구축을 위한 정부의 글로컬 대학 선정에 맞춰 대학들 역시 특성화와 구조조정 지자체와의 협력시스템 구축등 선제적인 자구노력이 요구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