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인 생산품 생산시설 확충해야” 전주시 장애인 일자리 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중증장애인 생산품 생산시설 확충해야” 전주시 장애인 일자리 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 권순재 기자
  • 승인 2021.04.16 21: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애인 일자리 정책 혁신을 위해서는 정부 부처와 정책 연계는 물론 기업의 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직업 훈련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는 견해가 제시됐다.

 또한 장애인구 분포 특성을 고려한 세분화된 정책 수립과 자원 배분 등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같은 주장은 전주시 장애인 일자리 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서 나왔다.

 ‘장애인의 삶을 바꾸는 첫 번째 도시 전주’를 표방하는 전주시는 지난해 장애인 일자리 창출 및 고용촉진 지원 조례를 마련했으며, 지난 2018년부터 5년간 162억6000만 원을 투입해 장애인 사회참여 기회확대 및 일자리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전주시로부터 발주받아 ‘전주시 장애인 일자리 종합 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수행하고 있는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책임연구원 이인재)은 지난 16일 중간보고회를 갖고 그간의 연구 성과와 장애인 일자리 정책 발전 방안을 제시했다.

 장애인 일자리 실태조사 결과 전주지역은 전반적인 근무여건 개선과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 강화로 장애인 고용환경의 긍정적 변화가 이뤄지는 가운데 △구직자원의 미스매칭 △장애인 고용에 관한 인식 부족 △보호작업장 비용 증가로 인한 운영 어려움 등의 과제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 내 일자리 사업과 관련해 직무가 불명확하고 단기 계약직 등 지속성이 약하다는 지적과 함께, 취업 이후 의료급여 또는 수급자격 탈락으로 인한 어려움이 뒤따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때문에 △장애인식개선 △직무분석 △직업평가 △구인구직 발굴 등 구조적인 접근과 함께 외국처럼 고용이 이뤄지더라도 보장을 지속할 필요성이 제시됐다. 여기에 탄소제품 가공 및 판매, 새만금 태양광 설치 및 관리사업, 전주한옥마을 숙박업·소독·길거리청소 등 전주시 강점 지역특화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이와 관련 전주시 등록장애인 인구는 3만3720명(2019년 기준)으로 지체(50.6%), 시청각(20.1%), 뇌병변(10.5%), 발달(9.1%) 순이다. 전체연령 중 50세 이후 장애인 비율(76.7%)이 높고, 장애인구의 고령화가 이뤄지고 있다.

 시는 이 같은 방안들을 더욱 구체화해 6월중 최종보고회를 가진 뒤 ‘4개년 전주시 장애인 일자리 종합계획 및 연도별 실행과제’를 수립할 계획이다.

 전주시 복지환경국 관계자는 “이번 용역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 및 세부 추진과제들을 마련할 것”이라며 “일자리 정책의 양적 확대 및 질적 수준 제고를 통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장애인 일자리를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권순재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