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집재생, 지역 자산으로 활용해야
빈집재생, 지역 자산으로 활용해야
  • 설정욱 기자
  • 승인 2019.09.03 18: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내 빈집을 주거공간, 문화·복지공간, 경제활력공간으로 활용해 도시재생 활성화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북연구원은 3일 이슈브리핑 ‘빈집 활용을 통한 도시재생 활성화’에서 인구감소와 지역쇠퇴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빈집’을 활용해 주거수요를 창출하고 지역의 혁신과 활력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9천763호인 전북의 빈집 중 40.4%는 상태가 양호한 상태로 연구원은 주거, 문화복지, 지역활력 등을 위한 도시재생 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활용 방안으로는 빈집을 주거취약계층의 주거공간으로 제공하거나 지역커뮤니티 시설 및 노인 돌봄의 노인복지 시설 등의 문화·복지공간, 지역의 활력을 높여주는 청년들의 창업공간 또는 지역예술가의 작업·전시공간 등이 제안됐다.

오병록 부연구위원(지역개발연구부)은 “전북도가 추진하고 있는 ‘희망하우스 빈집재생’ 프로젝트처럼 빈집을 리모델링해 주거취약계층뿐만 아니라 지역의 혁신주체인 청년들과 귀농귀촌 희망자들을 위한 임대주택과 문화활동가를 위한 문화·예술공간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특히 노노케어(老老Care)를 위한 어르신 공동체주택 등 주거공간, 지역민의 문화 및 노인복지를 위한 문화복지공간, 청년 창업과 지역예술가 작업·전시를 위한 경제활력 공간이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빈집 활용을 위해서는 빈집의 수와 위치, 건축물 유형, 상태 등 종합적인 실태 파악이 선제돼야 한다.

통계청의 빈집 통계 자료는 ‘매매 임대에 의한 이사’, ‘미분양 미입주’, ‘수리중’ 등 일시적으로 거주자가 없는 주택이 조사 대상이 돼 과다 산정되는 만큼, 미거주에 의한 관리의 부재뿐만 아니라 ‘특정빈집’처럼 지속적인 방치의 경우에 붕괴 등 현저한 위해가 우려되는 빈집을 대상으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오 위원은 “실효성 있는 정책추진을 위해 빈집실태를 조사하고 빈집정비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인 추진기틀을 다지고, 빈집은행과 같은 시스템을 통해 수요자와 공급자간 빈집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회적경제 조직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설정욱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