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농생명용지 전력시설 ‘지중화’ 다음달 결정
새만금 농생명용지 전력시설 ‘지중화’ 다음달 결정
  • 설정욱 기자
  • 승인 2018.04.25 17: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만금 농생명용지 전력공급망의 지중화 여부가 다음달 결정될 전망이다. 전력 공급방식이 기업유치 등 새만금 개발 전반에 영향을 줄 것이 자명해 기재부의 발표에 관심이 쏠린다.

25일 전북도에 따르면 KDI(한국개발연구원)의 적정성 검토가 마무리된 가운데 현재 기재부와 보고서 납품 일자를 조율 중이다. 기재부는 KDI의 공식 최종 보고서를 건네받은 뒤 다음달안으로 새만금 농생명용지 전력시설 지중화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새만금 농생명 용지 전력시설 지중화는 지난 2014년부터 추진됐다. 하지만 기재부가 ‘전봇대’ 방식의 공중화를 고집했고 사업비 재심의 절차를 이유로 제동을 걸었다. 지난해 농식품부가 지중화 공사 범위를 180.7㎞로 확장, 기존 예산보다 700억원 늘어난 888억원을 산출해 기재부에 재신청하자 기재부는 KDI에 적정성 검토의뢰를 맡겼다.

올해가 4년간의 길고 긴 답보 상태에서 벗어날 적기라는 게 전북도의 판단이다. 지난해 준공을 마친 새만금 농생명용지 5공구가 2020년부터 본격 사용될 예정인 만큼 올해 안으로 지중화 설계 등 착공에 돌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도는 농업법인 2곳을 선정한 상태로 2020년에 염분제거와 시험재배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달 기재부 발표를 앞두고 전북도는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는 눈치다.

새만금 지역이 해무와 강풍 등 바다환경에 노출돼 관리가 필요하고 도시개발사업 대부분이 지중화로 추진되는 추세인 만큼 계획 개발되는 새만금의 전력 지중화는 필수적이라는 분위기다. 지난해 KDI의 설계적정성 검토 결과에서도 ‘지중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온 점도 지중화 추진에 주장에 힘을 보태고 있다.

김양곤 도 새만금개발과장은 “지중화 방식이 초기 비용은 비싸지만 공중방식보다 연 6억 원가량 절감돼 장기적 측면에서 경제적이고 재난 대응능력도 탁월하다”며 “444억원의 기금을 투입할 농식품부에서도 지중화를 적극 원하고 있어 기재부에서 결정만 된다면 곧바로 계획 수립 등 지중화 작업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양곤 과장은 이어 “전력시설 공중화 설치시 무인헬기를 이용한 직파 영농, 항공방제 등 첨단농업 실현이 어려워 새만금 개발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며 “기재부 발표 직전까지 새만금 농생명용지의 지중화 필요성을 적극 피력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설정욱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