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1%의 학교만 지하대피시설 보유
단 1%의 학교만 지하대피시설 보유
  • 김혜지 기자
  • 승인 2017.10.15 22: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지역에서 학생들의 안전을 책임질 지하 대피 시설을 보유한 학교가 전체 1% 수준에 불과해 유사시 학생들의 안전이 무방비 상태에 노출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같은 전북 지역 학교들의 지하 대피 시설 보유 현황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최하위여서 만일의 사태 발생시 학생 안전을 위한 교육당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자유한국당 김석기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 받은 ‘공습 경보 시 지하 대피 시설 보유 학교 및 인근 대피소 지정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북 지역 964개 학교 중 지하 대피 시설을 보유한 학교는 15곳(1.6%), 인근 대피소 지정 학교수는 12개(1.2%)로 나타났다.

 전북 지역 학교 중 97%이상이 지하 대피 시설을 보유하고 있지도 않고, 인근에 대피소를 지정하지도 않은 것이다.

 때문에 도내 학교들은 민방공 훈련 시 지하 대피 시설이 아닌 학교운동장에 대피소를 마련하고, 학생들은 스탠스에 앉아서 휴식을 취하거나 장난을 치는 등 형식적인 훈련이 이뤄지는 실정이다.

 도내 한 중학교에 재학중인 이성현(14)군은 “만방위 훈련할 때 친구들과 운동장에서 장난치거나 이야기를 나누면서 시간을 보낸다”며 “설마 무슨 일이 일어날까 싶어 적극적으로 배우는 학생들은 솔직히 몇 명 없다”고 말했다.

 전주 A고등학교의 한 교사는 “운동장에서 30분 동안 소방훈련, 지진 훈련 등을 같이 실시하고 있는데 지하 대피 시설에 대한 이야기는 처음 듣는다”며 “비상벨이 울리면 학생들을 운동장으로 내보내고 이후에는 담당 교사가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석기 의원은 “일본의 경우 ‘전국순간경보시스템(J얼럿)’을 통해 일본 전 지역의 학교 및 관공서에 전파하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며 “북한 미사일 발사를 상정한 대피 훈련을 각 지역마다 체계적으로 매달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전북도교육청 조차도 현행법상 의무 사항이 아니다는 이유로 지하 대피 시설을 설립해야 하는 필요성 조차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교육 당국의 이같은 인식은 안전불감증이 만연해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예산소요와 공간 확보에 대한 어려움도 있기 때문에 도내 학교에서 지하에 학생 전체를 수용할 만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며 “이번 조사를 보고 대피시설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관련 지침을 각 학교에 전달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 1만2천578개교 중 지하 대피 시설을 보유한 학교는 1천631개교(1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혜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