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가게는 지속돼야 한다
착한가게는 지속돼야 한다
  • 송지용
  • 승인 2016.07.06 16: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몇 년 전 KBS의 ‘이영돈 PD의 소비자고발’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착한식당을 지정하기 시작하면서 먹을거리에 대한 관심이 전 사회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했다. ‘착한식당’은 제대로 된 식재료를 써야 하고, 조미료를 넣지 않으며, 가격도 저렴해야 한다는 등의 까다로운 조건들을 갖추어야 했다.

 그러다 보니 착한 식당은 전국에 몇 안 되었고, 착한식당으로 지정된 곳은 밀려오는 손님들 덕분에 즐거운 비명을 질러야 했다.

 이 프로그램이 성공하자 타 방송사들은 앞다투어 먹을거리에 대한 고발프로그램을 내놨다. 그 인기는 가히 폭발적이었고,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제고하는데 큰 효과를 발휘했다.

 적절한 가격에 제대로 된 음식을 먹고 싶다는 소비자들의 열망을 반영해 전라북도가 지난 2009년 제도적으로 추진한 것이 ‘착한가격 업소’ 지정이었다. 값싸고 맛 좋은 식당을 ‘우수 물가안정 모범업소’로 지정해 지원하자는 대한주부클럽 전북지부의 건의를 전라북도가 받아들인 것이었다. 행정자치부가 전국적으로 시행할 때가 2011년이었으니, 전라북도가 3년 앞선 것이다.

 착한가격업소 선정기준은 가격과 품질, 친절도와 위생 등이지만, 그중에서도 ‘가격’부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업소에서 제공하는 가격이 지역 평균보다 저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기준에 의해 전라북도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식당, 미용실, 세탁소 등 업종별로 총 346개의 착한가게를 지정해 재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는데 올해 책정된 예산은 1억 6천여만 정도다. 이 예산으로 연 3회 정도의 위생소독 지원, 전기안전점검, 쓰레기봉투 지원, 드라이기 지원, 세제 지원, 옥외가격표시판 등원, 신규사업 표찰 등을 지원해주고 있다.

 그러나 전라북도 착한가게 사업은 여기저기서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우선 홍보 부족이다. 매월 착한가게를 선정하지만, 정작 도민들은 착한가게가 어디인지 몰라서 이용을 못 하는 경우가 많다. 가격이 싸기 때문에 박리다매로 운영해야 하는데 사람이 몰리지 않는 것이다. 사업을 시작한 지 5년이 넘은 점을 감안하면 홍보가 얼마나 부족했는지 알 수 있다. 이보다 더욱 큰 문제는 형식적인 지원에 그친다는 점이다. 그러다 보니 착한가게들이 문을 닫거나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데, 이런 업소들이 매년 30~40개에 이른다. 이는 전라북도의 지원이 가게 운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착한가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식당의 경우, 쓰레기봉투와 연 3회 위생소독 지원으로는 저렴한 가격을 유지할 만한 유인책이 되지 못하는 것이다. 착한가게 입장에서 볼때, 도의 지원은 그야말로 생색내기에 불과하다.

 착한가게들은 이윤을 적게 남기더라도 가격을 올리지 않고 서민들 곁에 남아있는 업소들이다. 이런 가게들은 마땅히 도민들에게 알려져야 하고 다른 업소들에게까지 확산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착한가격업소에 대한 실효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실질적 지원을 위해서 이를 뒷받침할 조례 제정이 필요할 것이다.

 전라북도는 전국에서 가장 먼저 착한가게를 선정해 지원한 자치단체다. 이제라도 형식적인 지원에서 벗어나 타 시도와는 다른 특성화 전략을 마련해, 처음 이 제도를 도입한 취지와 목적을 제대로 살려야 한다고 본다. 지금도 착한가게는 저렴한 가격과 변하지 않는 맛으로 서민 곁을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중이다.

 송지용<전북도의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