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건문제에 대한 종합·체계적인 대응체계 마련
환경-보건문제에 대한 종합·체계적인 대응체계 마련
  • 김현수
  • 승인 2015.02.15 15: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뚜렷한 사계절이 존재하는 온대 지역에서 한가지 형태의 극단적 기후를 오래 겪지 않으며 계절의 변화에 따라 자연이 제공하는 혜택을 향유하며 살아갈 수 있는 우리는 1년 내내 극한의 기후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지역의 사람들에 비하면 축복받았다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온대기후 지역에서는 계절에 따라 다른 종류의 오염과 질병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보건 환경적 측면에서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대비에 신경 써야 하는 어려움이 있기도 하다. 1년 365일이 열대기후인 동남아시아나 아프리카의 경우는 인간활동으로 인해 유출되는 오염물질의 부패로 인해 초래되는 수질오염과 이로 인한 세균성 전염병의 발생에 주로 신경을 써야 하고, 추운 기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경우에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창궐에 신경을 써야 한다. 열대지방이나 극지방에서는 특정 오염이나 질병 문제의 발생이 대규모로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은 있지만, 보건 환경적 문제를 일으키는 환경조건이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대비해야 할 문제의 형태가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예산 확보의 어려움이 없다면 상대적으로 그 대처가 쉬운 측면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4계절의 변화를 매년 경험해야 하는 지역에서는 열대 지방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와 추운 지역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계절의 변화에 따라 모두 경험하게 되기 때문에, 그 대비와 후속조치도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되는 것이다.

 계절적 환경조건의 변화로 인해 국내에서의 오염과 질병 발생 문제는 발생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는 특징이 있지만, 계절의 반복과정을 통해 거의 매년 재현되는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현재, 국내 여러 농촌지역을 근심에 빠뜨리는 구제역이나 조류독감과 같은 문제도 거의 항상 날씨가 추워지는 늦가을이나 초겨울에 발생하고 겨우내 지속하는 특성이 있지만, 봄이 되고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그 발생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의 활동성 및 지속성이 떨어지게 되어 자연스럽게 사라진 것처럼 보이게 된다. 현재의 가축 전염병 문제도 이제 조금만 지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자연스럽게 누그러지게 될 것이다. 하지만, 가축 전염병이 지나간 자리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보건 환경적 문제들이 대체하게 될 것인데, 예를 들면 봄이 되면 강과 호수의 녹조현상을 걱정해야 하고, 여름이 되면 오염물질의 부패에 따른 용존산소의 고갈로 인한 수자원 및 수생태계의 건전성 문제 등이 대두하게 될 것이다.

 기존의 문제와 새로운 문제의 전이 단계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새롭게 발생하는 문제는 언론의 집중적인 보도 등으로 급격하게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새로운 문제의 대처에만 지나치게 신경을 쓰게 되면 이미 발생한 문제에 대한 사후처리가 부실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가축 전염병을 일으키는 인자가 바이러스라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졌으나, 이들이 어떤 기원 또는 경로를 통해서 처음 전염병을 발생시키는 지에 대한 역학관계는 잘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많고, 실제로 조사에 착수한다고 해도 밝혀내는 경우는 드물다고 볼 수 있다. 확정적 방제방법이 없는 상태에서 할 수 있는 일은 잠재적 오염원의 수와 양을 줄여서 다음해에는 전염병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것인데, 이는 발생 후 제대로 된 사후처리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하지만, 여론의 관심이 집중되는 문제의 대처에만 노력을 집중하고, 기존 문제의 사후처리를 확실히 하지 않는다면 올해 겨울에 같은 규모와 빈도를 가지는 질병의 발생 가능성은 그대로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는 발생과 확산에 대해서만 노력을 집중하지 않고, 발생부터 소멸 후 관리까지 종합적 관리를 하는 정책적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1년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각 문제에 대한 체계화된 메뉴얼을 준비하여 모든 문제들이 균등한 관심과 정책적 대처를 받도록 하여 매년 문제의 발생 빈도와 규모를 조금씩 줄여나가는 노력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계절적, 지역적으로 다양하게 발생하는 여러 문제 중에서, 전북 지역은 특정 문제와 무관하다고 생각 할 수도 있다. 하지만, 환경문제는 자연이 유지하고 있는 섬세한 균형에 미미한 변화가 초래되어도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문제에 대해서는 걱정이 없다는 식의 자세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보건 환경 문제에서 중앙정부가 큰 역할을 하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중앙정부의 움직임은 언론과 여론의 주된 관심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이슈화된 문제에 집중되는 경우가 많다. 사후처리가 부실한 지역에 살게 되는 것은 결국 지역 주민이다. 그러므로 전북지역도 할 수 있는 한도에서 여러 이슈에 대한 대처방안을 마련하는 큰 그림을 마련하거나, 최소한 그에 대한 논의라도 시작할 필요가 있다.

 김현수<전북대학교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