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일자리가 도민 복지다
[신년] 일자리가 도민 복지다
  • 왕영관 기자
  • 승인 2015.12.24 14: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식음료 자영업을 작년 말에 창업한 40대 중반의 K씨는 주변의 창업 추세를 보고 깜짝 놀랐다. 40대 후반과 50대 초반, 이른바 ‘4말 5초의 창업’이 주변에서 생각보다 많았다. “일반 기업의 명퇴가 연령을 가리지 않아 주위에서 40대 창업을 자주 볼 수 있었습니다.”

 그의 말은 공식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호남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11월 중 전북의 자영업자 수는 26만2천명으로, 근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1년 전의 25만1천명보다 1만1천명, 4.3%나 격감한 수치다. 전북의 2014년 평균 자영업자 수가 24만2천명이었음을 고려할 때, 작년에만 2만명 가량이 격증한 셈이어서 자영업 과열 창업을 보여주고 있다.
 

 ■ 자영업 한해 2만명 급증

 자영업이 급증하는 원인은 마땅한 일자리가 없어서다. 전북도와 일선 시·군의 일자리 창출 노력에 힘입어 1주일에 36시간 이상 일하는 안정적인 취업자는 작년 11월 중 72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3.3% 늘어나는 등 점증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이들 취업자 중에는 농림어업에 종사하는 1차산업 고령인력이 15만명을 기록하고 있고, 각종 개인 서비스업 종사자도 32만명을 웃돌고 있다.

 비임금 근로자와 자영업자 등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장기불황에 사실상 휴업 중인 사업체도 적잖아 “전북의 일자리 지도엔 빛보다 그림자가 더 짙게 깔려 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마땅한 일자리가 없는 상태에서 이직률마저 높아 사업주들은 일손 불안에 시달리는 이중 고통을 겪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5년 4월 지역별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북의 해당월 이직률은 3.8%로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광주(4.4%)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전북은 지난 2014년 같은 달에도 이직률 전국 2위(4.2%)였다. 이직률이 높은 만큼 입직률 또한 광주광역시와 전북이 2년 연속 1~2위를 차지했는데, 이번 발표에서 고용노동부는 이들 지역을 노동이동률이 활발한 지역으로 분류했다. ‘입직률’이란 기업과 산업에서 고용노동자의 입직의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로, 노동청의 매월 노동통계조사에서는 신규채용, 전직 등에 의한 월간 증가노동자수를 전월말의 고용자수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다.

 ■ 저성장 복지는 일자리

 상용직 일자리가 감소하고 일용직종이 늘어나는 등 ‘단기간에 노동 이동이 급증하는 지역’으로 분석된다. 도내 상공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업유치와 각종 개발사업의 후광 효과로 상용직 일자리가 조금씩 늘고 있지만, 청년실업난이 심각한 상황에선 코끼리 비스킷”이라고 말했다.

 학계의 한 관계자는 “저성장 시대에는 최고의 복지가 바로 일자리 제공”이라며 “한 사람이 일자리를 얻어 안정적인 삶을 꾸린다면 가족까지 안정을 얻을 수 있어 3~4인의 복지 제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전북의 인구가 187만명까지 줄었지만, 상주인구만 따지면 170만 명대로 이미 주저앉았다”며 “일자리가 없어 사람이 떠나는 현실을 차단하기 위해선 청년과 중장년, 노년층 등 세대별로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검토해 봐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청년실업은 심각 단계

 전북의 청년실업은 ‘심각’ 단계를 벗어난 모습이다. 전주시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에 따르면 OECD의 새로운 실업기준에 따른 통계청 고용보조지표를 근거로 전북지역의 실업률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1·4분기 중엔 20.1%로 나타났고, 청년실업률은 36.5%를 기록했다.

 전북 청년들의 불안한 취업전선은 의식구조를 완전히 바꿔 놓았다. 전북대 산학협력단이 도내 소재 대학 재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지난 2014년에 직접 면접을 통해 대학생들의 일자리 선호도와 중소기업 인식 등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7%만 무조건 중소기업에 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또 일자리를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를 조사한 결과 전공 분야와의 관련성을 보겠다는 응답은 4.8%에 불과했고, 장래 비전을 보겠다는 답변도 1.4%로 미미했다. 그나마 적성이나 흥미에 맞는 일자리를 구하겠다는 비중이 19.4%로 위안을 줬다. 전북 청년이 가장 중요하게 보는 요소로는 급여(39.4%)가 1순위였고, 고용 안정성(13.8%)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 노인 일자리도 중요

 전북도는 이와 관련, 청년들과 소통하고 정책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청년정책 포럼’을 운영하고 있다. 또 청년 건강문제, 청년 귀농 귀촌, 농어업인 후계자 발굴, 청년 주거 등 청년 정책으로 지속적으로 발굴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노령인구 증가에 따른 노인 일자리 대책도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정부는 오는 2017년까지 연간 5만 개의 노인 일자리를 확충할 계획이다. 이에 발맞춰 도내 지자체마다 노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전북에는 현재 전주시니어클럽 등 10여 개가 운영 중이며, 여기에서만 1천100여 명의 노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다. 전북도는 “노인의 사회적 경험과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노인적합형 일자리를 개발해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시니어클럽을 운영하고 있다”며 “노인이 활기차고 건강한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의 고삐를 늦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왕영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