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개발청 전북인력 수혈 ‘딜레마’
새만금 개발청 전북인력 수혈 ‘딜레마’
  • 최고은 기자
  • 승인 2013.09.30 1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년 체증이 한순간에 내려가나 싶었다. 지난달 12일 새만금개발청 출범의 날에 말이다. 그런데 전북도청은 팡파르를 울리자마자 새로운 고민에 빠졌다. 개발청 전입자 24명을 공모한 결과 도청 직원 17명만 신청한 것이다. 어쩔 수 없이 나머지 7명은 지방(전북도)에서 중앙(개발청)으로 파견 보낼 수밖에 없는 처지다.

이도 쉽지 않은 모양이다. 요즘 청원들 사이에 유행하는 말이 있다. “누가 리스트에 포함될까?”, “나는 피했으면 좋겠다.” 등등. 파견조차 서로 환영하지 않는 모습이다. 도는 대략 난감할 수밖에 없다.

청원들의 심정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개발청 전출은 모든 생활의 변화를 뜻한다. 지방직이 국가직으로 바뀌고, 근무처도 전북에서 세종시로 옮기게 된다. 전출 가면 당장 생면부지의 세종시에 방을 얻어야 한다. 신설부처인 만큼 격무는 불가피할 것이다. 빡 세게 일을 한다면 자신의 여유를 찾기란 어려울 것이다. 더욱이 개발청 전입 대상인 4~5급 공무원은 50대 안팎의 적지 않은 나이다.

개발청 전출을 자신의 일이라 생각한다면 어느 누구도 선뜻 결단을 내리지 못할 것이다. 이렇다 보니 공모 절차 없이 진행되는 파견 근무자 선발 역시 “난 피해갔으면…” 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래저래 개발청 인력 딜레마에 빠진 것이다.

여기서 한가지 생각해 볼 일이 있다. 공무원 파견은 전출과 달리 파견기관이 인건비를 물어야 한다는 점이다. 과장급 1명과 사무관 5명, 7급 1명 등 총 7명을 파견하게 되면, 전북도가 인건비를 충당해야 하는 것이다. 개발청에 전북의 티오(tio)를 따놓고도 갈 사람이 없어 인건비까지 대며 파견 보내야 하는 처지, 어찌 보면 아이러니다.

1인당 연간 인건비를 5천만 원으로 계상한다면 3억5천만 원에 달한다. 재정자립도가 20%대에 머무는 전북 입장에선 결코 적은 돈이 아니다. 개발청을 위해, 없는 전북도가 이 돈을 고스란히 대야 하는 것이다. 도의 한 관계자는 “중앙부처에서 경쟁을 통해 역량을 쌓으면 직원들 자신에게 큰 이점이지만 전출에 따른 인센티브나 별도의 장점이 없으니 외면하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도청 주변에서는 변화를 능동적으로 받아들이고 뜨겁게 개척해 나갈 젊은 사무관은 없느냐는 질문도 나온다. 개발청 출범과 도청 직원의 파견, “얻는 게 있으면 잃는 것도 있다”지만 여러 아쉬움을 남기는 대목이다.

최고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