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경기장과 컨벤션 복합개발의 필요성
종합경기장과 컨벤션 복합개발의 필요성
  • 김동영
  • 승인 2013.08.26 17: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시의 경쟁력은 일차적으로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할 수 있는 혁신과 창조가 일어날 수 있는가에 달렸다. 물론, 다른 도시에서 만들어진 상품의 유통과 판매를 통해 일정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지만, 이것은 최초 새로운 상품을 만든 도시를 넘어설 수 없는 태생적 한계를 가진다. 그렇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수많은 도시들이 다른 도시에서 만들어내지 못한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연구개발이나 인프라에 집중투자하고 있다. 특히, 문화관광산업은 자기지역 내에서 생산 및 소비되는 최종수요형 산업이라는 측면에서 도시의 내생적 발전전략을 추구하는 많은 도시들이 미래의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

전주시는 국내에서 보기 드물게 해변이나 국립공원 등의 자연자원을 활용한 자연관광이 아닌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관광지로서 국내 관광시장에서 일정한 포지셔닝을 차지하고 있다. 도시관광은 최초 매력요소를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지 않으면 그 수요가 한정적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주시는 관광유입요소를 전통문화와 한옥마을에서 휴양, 레저, 국제회의 등의 다양한 분야로 확산하고, 한옥마을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넘어 도시 전체로 관광영역을 확장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농촌진흥청 및 기금운용본부 유치와 MICE산업 수요 증가 등의 주변환경변화는 전주시의 새로운 관광유입요소로서 컨벤션산업의 중요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컨벤션 산업은 주요 제조업평균보다 약 2배 이상의 소득창출효과와 세수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연구에 의하면 컨벤션 참가자들의 지출액은 일반관광객보다 평균 1.9배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서울 전시컨벤션개최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윤승현 한남대교수에 의하면, 코엑스 컨벤션센터 하나에 참가한 관람객이 서울지역에 직접 지출한 금액이 약 9,335억원에 달하며 총생산 파급액은 약 1조 8,624억원에 달한다고 한다. 하지만, 전주시는 컨벤션센터가 없다는 이유로 국내에서 개최되는 2만여건의 MICE행사를 지역경제활성화로 연결할 기회를 잡지 못하고 있다. 연간 15만명의 교육생이 찾아오는 지방행정연수원, 연간 50여 차례의 국제회의와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농촌진흥청의 건립과 더불어 국내외 업체와의 200여 차례 투자자회의를 개최하는 연금관리공단의 기금운영본부 유치에 따라 컨벤션센터 건립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제는 컨벤션센터 건립의 필요성을 넘어 시급성이 요구되고 있다.

초기 컨벤션센터 건립은 주변여건에 대한 고려 없이 입지가 선정되던 방식에서 최근에는 잠실 국제컨벤션 콤플렉스 조성, 서울역 북부 역세권 개발, 부산시 복합환송센터 및 광주 컨벤션 타운 조성 등과 같이 인접지역 또는 부대기능과의 복합화를 통해 사업을 추진하는 경향으로 변모하고 있다. 그 이유는 컨벤션 참가자들의 소비가 회의참가 목적 이외에 숙박이나 관광, 식음료, 쇼핑 및 나이트라이프 등 부대서비스에 대한 지출액이 더욱 많기 때문이다. 이는 컨벤션산업이 다른 산업보다 지역소득창출효과가 2배 이상 큰 이유이며, 컨벤션유치를 지역경제와 접목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기도 하다.

해외의 경우도 대부분 MICE시설을 중심으로 도심지역에 컨벤션센터, 전시시설, 숙박, 쇼핑, 문화, 위락 등의 시설을 집단화하여 집적의 경제화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실례로 싱가포르의 마리나 베이 샌즈의 경우 특정 회의용 장소로서의 이미지가 아닌 공연, 문화, 쇼핑 등이 인접지역에서 모두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의 복합화를 조성하였으며, 일본 도쿄 전시장(Tokyo Big Sight)의 경우 도시지역 내에서 국제박람회장을 중심으로 관광과 엔터테인먼트 시설 등을 집적화하여 새로운 관광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전주시 또한 컨벤션산업을 지역경제 활성화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컨벤션센터 주변에 회의와 전시를 포함한 숙박, 관광, 식음료, 쇼핑, 나이프라이프 시설 등이 연계되는 복합단지로 개발해야 한다. 정부 또한 2014년부터 국제회의기획업의 표준 요율을 마련하고 컨벤션 시설이 있는 8개 도시를 중심으로 국제회의 복합지구를 지정·운영할 계획이다. 이제는 종합경기장과 컨벤션센터 분리개발과 같은 소모적인 논쟁을 접고 종합경기장 주변 일대를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하고 컨벤션 연관시설을 집적하여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모색해야 할 때이다.

김동영<전주시정발전연구소 연구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