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를 통한 과학교육 2
놀이를 통한 과학교육 2
  • .
  • 승인 2013.08.15 15: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주까지는 놀이를 통한 과학교육과 놀이중심 학습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과학 놀이중심 학습의 원리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과학과 놀이중심학습(과학탐구놀이)의 원리

1. 교수-학습 원리 1 : 학습주기와 놀이의 순환주기

과학교육의 학습주기와 놀이 활동은 상호 연계되어 진행되어야 한다. 놀이를 통한 과학 활동은 과학교육의 학습주기와 놀이가 상호 연계되어 다음과 같이 순환적 주기로 전개된다.

1) 인식 및 탐색 단계

발견적 탐색놀이를 통하여 아동의 흥미와 호기심이 증대되고, 주변의 과학적 원리나 지식 등을 인식하게 된다.

2) 탐구의 단계

아동들이 탐구적 구성놀이를 하면서 자신의 다양한 호기심을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하면서 과학적 지식을 구성하게 된다.

3) 적용의 단계

발견적 탐색놀이와 탐구적 구성놀이를 통해 알게 된 원리나 과학적 지식을 적용하여 극화놀이나 조형놀이, 게임 등의 통합놀이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아동의 학습주기와 상호 연계된 과학 놀이의 주기는 과학 활동의 특성과 아동의 흥미, 발달 수준에 따라서 융통성 있게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단계적으로 진행하거나 모든 과학 활동에서 경험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2. 교수-학습 원리 : 놀이의 진행과정

교사는 놀이를 통한 과학 활동의 학습주기에 적합한 질문과 안내를 한다. 놀이를 통한 아동과학교육 활동은 아동주도의 놀이로 진행되지만 교사의 적절한 질문을 통하여 촉진되고 확장되어야 한다. 교사의 질문은 다음의 놀이의 진행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Forman, 1998).

1) 발견적 탐색놀이의 단계

아동의 놀이 행동을 관찰하면서 흥미를 유도하는 질문과 격려가 중요하다. 과학 주제에 대한 아동의 흥미가 유발될 수 있는 질문이나 개별 아동들의 탐색 활동을 주의 깊게 관찰, 격려하면서 과학 주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될 수 있는 질문을 제공해야 한다.

2) 탐구적 구성놀이 단계

사고의 확산과 놀이의 확장을 위한 질문과 자료의 제공이 중요하다. 교사는 아동들의 과학 활동을 관찰하면서, 아동들이 개별적으로 탐색 놀이하면서 발견한 것을 탐구적 구성놀이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료를 제공해준다. 또한 발견적 탐색놀이가 깊이 있게 확장될 수 있도록 아동의 사고를 자극하고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적절한 질문을 하거나 상황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거울의 특성에 대한 발견적 탐색놀이가 끝난 후 거울의 반사 및 대칭과 같은 탐구적 구성놀이로 확장될 수 있도록 질문할 수 있다. “거울에 빛이 닿으면 어떻게 될까?”, “거울을 연결하여 반쪽 그림 자료를 비추면 어떻게 보일까?”와 같은 질문을 통해 아동들이 반사와 대칭에 대해 탐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3) 확장적 통합놀이 단계

다른 견해와 사고를 유발하는 유도적 질문이나 상황의 제안이 중요하다. 아동이 놀이를 통한 과학 활동에서 이해한 개념이나 알게 된 내용을 생활 속에 적용할 수 있는 질문 혹은 상황을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울 대칭 놀이’에서 거울을 이용하여 반쪽 그림을 완성시키는 활동을 확장하여 미술 영역의 데칼코마니 활동을 제안하여 통합놀이를 유도할 수 있다.

3. 교수-학습 원리 2

개별 탐색에서 시작하여 또래 협동으로 발전하는 놀이 활동으로 진행한다. 아동이 개별적으로 탐색한 놀이에서 점차적으로 또래와 협동하는 놀이로 나아가도록 도와준다. 즉 과학 활동은 주변 사물 및 사건에 대한 개별적 발견 및 탐색놀이에서 시작하지만, 점차 또래 아동들과 협력적 탐구 및 통합놀이로 발전해가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아동은 자기 주도의 발견적 탐색놀이를 통해 자신의 사고 구조에 맞는 지식을 구성하며 동시에 자신이 포함된 사회적 맥락 속에서 협동적 놀이를 함으로써 공유된 지식을 내면화하는 기회를 얻게 된다(신은수, 김은정, 1994; Berk & Winsler, 1995; Bodrova & Leong, 1996; Forman, 1998). 그러므로 과학 놀이과정에서는 아동들이 또래간의 규칙과 사회적 맥락을 통하여 협동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상황을 만들기 위하여 놀이 자료의 규모를 크게 만들어 제공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 김창식·이화국·권재술·김영수·김찬종(1993) / 과학학습평가, 교육과학사

◎ 김해진(1999) /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이 학습 능력별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 유준희(1993) / 과학역할놀이와 공연, 관악사

◎ 이경훈(1997) / 탐색적,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한 과학에 대한 태도 3요소 모델의 타당 도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정완호·권재술·정진우·김효남·최병순·허명(1997) / 과학과 수업모형, 서울 : 교육과학사

◎ 최돈형 역(1989) / 과학과 학습 모형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교육과학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