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ㆍ완주통합, 전북의 미래를 생각하자!
전주ㆍ완주통합, 전북의 미래를 생각하자!
  • 박기영
  • 승인 2013.06.11 17: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요즈음 전북사회에서는 전주ㆍ완주 통합문제가 새만금사업 이후 최대의 화두로 회자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전주ㆍ완주 통합 프로젝트는 새만금사업 이후 이렇다 할 국책사업 하나 없이 맹신적으로 지역균형발전만을 외쳐대던 전북사회가 다시금 도약과 웅비를 시도해 볼 수 있는 지역생존사업이라는 평가가 공유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여 이 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하여 전북사회의 지역단체는 물론 지역유지들, 그리고 출향민들 까지도 그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물론 통합 추진에 비판적인 인사들의 움직임도 없지는 않는 바다.

이런 과정에서 전주ㆍ완주 통합작업의 현재적 상황을 집약해 보면, 통합을 추진하는 측이나 비판하는 측 모두가 통합 찬ㆍ반에 대한 명분과 논리는 충분히 개진, 설명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 같다. 하여 이제 전주ㆍ완주 통합 여부에 대한 주민의사의 확인작업 만을 남겨놓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그 결과야 어찌되던 간에 지금에 이르는 동안 다행스러웠던 것은 이전에 시도되었던 전주ㆍ완주통합 작업과정에서 처럼 상식과 이치에 맞지 않는 하고 많은 억측과 헛소문들이 접혀졌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아직도 사그러들지 않고 있는 사안중의 하나는 통합이든 반대든 그것을 부르짓고 있는 인사들의 주장의 진정성에 대한 의문과 또 그에 대한 공분(公憤)이라고 하겠다. 예컨대 전주와 완주를 각기 다른 선거구로 하여 ‘태평성대’를 누리고 있는 지역정치인이나 혹은 ‘받아놓은 밥상’처럼 미래가 약속된 정치지망생들의 통합 찬ㆍ반 논리 이면에는 변화에 대한 저항, 이른바 그들의 정치적 이해가 잠재되어 있다는 해석들이다.

물론 그러한 해석들이 억측이고 우려이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허나 현대사회에 이르러 아무리 기술발달이 첨단화되었다고 하지만 그 어떤 기술로도 인간의 행위 동기나 의도와 같은 내면세계를 읽어 내고 또 확인할 기술은 아직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때문에 그러한 우려와 염려가 완전히 가시지 않다는 것이 솔직한 고백이다.

하여 전주ㆍ완주 통합문제와 관련하여 지역정치인들에게 부탁하는 바는 정치적 이해에 근거하여 지역발전과 주민행복을 거론하지 말고, 지역의 미래를 생각하며 단 한번 만이라도 진정성(?) 있는 지역발전 논리와 철학에 입각하여 통합문제에 임해 달라는 것이다.

우리는 일제 강점기 호남선과 전라선이 개설될 때 그 교차 계획지점이 전주(역)이었으나 전주 유림(儒林)들의 강한 저항에 부딪쳐 솜리(이리)로 변경되었다는 일화를 들어 알고 있다. 또 건국 이후에는 상무대 설치의 최우선 적지로 전주가 거론되어졌으나 똑 같은 논리와 저항으로 이웃 광주로 이전, 설치되어졌단다.

이후 전주를 중심으로 한 전라북도의 운명은 어찌 되었겠는가? 한 마디로 배는 떠나가 버렸고, 상전은 벽해가 되어 버렸다. 호남제일성 임을 자부하던 전라북도는 이웃 광주의 2ㆍ3중대로 고착되어졌고, 해방직후 한국의 6대 도시였던 전주는 10위권을 넘어 이제 20위권의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어디 그뿐이겠는가! 낙후와 퇴행을 거듭하던 전라북도는 이제 9개 도(道) 단위 자치단체중에서 강원도, 제주도와 더불어 하 순위 경쟁을 벌이고 있는 형편이다.

이 모든 불행이 상무대의 이전설치나 전주역 교차지점화의 무산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지 여부는 정확하게 알 길이 없다. 허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정치ㆍ행정기능이 사회발전의 주도적 기능을 수행하고 또 정치ㆍ행정기능은 정책시혜와 가치배분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음을 상기한다면,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시혜의 외면과 무시는 자칫 또 다른 후회와 상실을 유발시키키는 우행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때문에 전주ㆍ완주 통합문제에 관한 한 우리 모두 미래지향적 사고 속에서 진정한(?) 진정성을 갖고 임하여 할 것이며 또 과거에 저지른 우행과 착오들을 답습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하리라 생각된다.

박기영 <전북대 명예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