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자들의 공식 만들기
수학자들의 공식 만들기
  • 김인수
  • 승인 2013.02.28 16: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학만큼 학생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갈리는 학문도 없을 것이다. 수학을 좋아하는 학생들은 문제 하나에 희열을 느끼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한 학생은 학교에서 선생님의 수업을 듣는 것만으로도 곤욕스러워 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수학을 싫어하는 학생들은 왜 수학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것일까. 많은 전문가들은 수학을 학문으로만 접근할 경우 쉽게 관심을 갖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수학이라는 개념은 과연 언제부터 생겨난 것일까? 가장 오래된 수학적 유물은 BC 35000년경의 레봄보 뼈(Lebombo bone)다. 이는 개코원숭이의 종아리뼈에 29개의 새김눈금이 있는 것으로 아프리카 남부 스와지랜드의 레봄보 산 국경 지역 동굴에서 발견, 지금까지 가장 오래된 수학적 기록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가장 오래된 계산기는 무엇일까? 전시에 의하면, BC 150년경의 안티키테라 기계장치다. 1901년 그리스 안티키테라 섬에서 발견된 해당 장치는 과학적으로 눈금을 매긴 도구로는 유일한 유물이고 대략 기원전 150년, 또는 1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후 주판도 개발되고 아츠텍 돌 달력과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혁명, 로그 등이 발견되며 수의 역사는 점점 혁신의 길을 걷게 됐다. 계산기도 초기의 모습에서 급속도로 발전하며 1642년에는 파스칼의 계산기가 나올 수 있었다. 수학자이자 철학자인 파스칼이 1642년 덧셈용 계산기(pascaline)를 제작했는데, 각 다이얼에는 프랑스 화폐 단위인 리브르가 적혀있고 각각은 더 작은 단위 12개와 29개로 나뉜 구조로 이뤄졌다. 본격적인 숫자는 BC 3000년부터 시작됐다. BC 3100년경 바빌로니아의 숫자가 탄생했고 BC 3000년경에는 이집트 숫자가 탄생한 것이다. 특히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인류 최초로 자릿값이 있는 60진법의 수 체계를 사용했으며, 고대 이집트 수는 기원 후 1000년 까지 사용되었는데, 이는 자릿값이 없는 상형문자인 것으로 전해진다.

그 이후부터 우리가 익숙히 알고 있는 수학자들의 공식이 하나 둘 나오기 시작한다. 일명 피타고라스의 정리로 잘 알고 있는 공식은 BC 1900년경 등장했다. 이는 한 점토판에 그려진 숫자와 기하학 도형으로 먼저 나타났다. 해당 점토판의 기록에서 바빌로니아 사람들이 피타고라스 정리와 2의 제곱근의 근삿값을 매우 정확하게 구한 것을 알 수 있다는 게 전시 관계자의 설명이다. 또한 BC 1650년에는 린드 수학 파피루스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아메스에 의해 기록된 중요한 이집트의 자료로 손꼽힌다. 이외에도 고대 중국의 숫자는 BC 1400년경에, 그리스 숫자는 BC 700년에 등장했으며 BC 500년에는 최초의 이진법과 로마 숫자가 탄생한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숫자는 BC 400년 인도의 힌두 사람들이 고대인도 수로부터 창안한 것으로 힌두 숫자가 페르시아로 전파되고 아랍사람들이 이 숫자를 서양으로 전했기 때문에 아라비아 수라고 알려져 있다.

수의 역사에 이어 수학자들도 만날 수 있다. 기원전 3100년경 60진법의 바빌로니아 수를 만든 것도 수학자며 증명을 도입한 탈레스 역시 수학자다. 그 후에도 많은 수학자들이 확률론과 미적분, 집합론 등의 연구에 매진했는데, 사실 이러한 모든 수학적 공식과 원리는 추상적인 데서 얻은 게 아니라 우리의 실생활에서 얻은 것이어서 더욱 흥미를 일으킨다. 우리는 수학자가 오직 수학만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많은 수학자들은 철학가이자 물리학자였으며 발명가이자 천문학자였다. 기하는 영원히 존재하는 것에 대한 지식이다. 라는 말을 남긴 피타고라스는 그리스의 철학자로 수학 뿐 아니라 천문학과 음악이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학생들에게 많이 익숙한 아르키메데스 역시 수학자이면서 물리학자이고 엔지니어였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뉴턴이나 라이프니츠보다 무려 2000년이나 앞서 구분구적법을 사용했고 도르래나 나사 펌프 등의 다양한 기계를 만들기도 했다. 무엇보다 아르키메데스는 목욕탕에서 목욕을 하던 도중 비중의 원리를 깨닫고 유레카! 를 외치며 벗은 몸으로 뛰쳐나간 일화가 유명하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도 빼놓을 수 없는 수학자 중 한 명이다. 이탈리아가 배출한 르네상스 시대의 천재라고 일컬어지는 그는 수학 뿐 아니라 미술, 조각, 건축, 음악, 과학, 해부학, 식물학, 심지어는 작가로까지 그 명성을 떨쳤다. 뉴턴의 이야기도 들어보자. 사과를 떨어뜨리며 만유인력의 법칙을 알아낸 수학자로 유명한 그는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 자연주의 철학자로서 가장 영향력이 큰 과학자로 알려져 있다. 미적분의 기초를 확립했을 뿐 아니라 만유인력의 법칙, 관성의 법칙, 가속도의 법칙 등 우리가 수학과 물리학 등에서 한 번 쯤 접했을 법한 다양한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수학자다. 이외에도 사영기하학의 기초를 굳힌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뫼비우스, 일반 상대성이론을 만든 물리학자 아인슈타인도 위대한 수학자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