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업 화가 채용신
전업 화가 채용신
  • 이흥재
  • 승인 2012.04.25 18: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석지 채용신은 고종의 어진을 그렸다. 조선시대 어진을 그린 화가라는 것은 최고의 화사라는 또 다른 표현일 수 있다.

석지는 우리나라 근대 초상의 거장이다. 그는 1850년에 태어나 1941년까지 거의 1세기를 살았고 조선말 일제강점기 등 우리역사에서 가장 격동의 시기를 살았다. 36세로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생활을 한 채용신 인생의 전반부는 무관관리로서 살았고 후반부는 화가로서 살았다.

고종의 총애를 받은 채용신은 50세의 나이로 어진화가가 되었으며 고종의 초상화를 그렸고, 정산군수에 임명을 받았다. 그래서 나이가 드신 어른들은 지금도 ‘채정산’ 이라 부르기도 한다. 작품에 서명할 때마다 “전 정산군수”라고 표현을 했는데 이것은 관직출신의 양반화가라는 것을 표현하고자 한 의도가 아닐까? 화업에 종사하는 화원들은 중인 계급이 대부분이었던 사회에서 양반 출신의 화원이라는, 그것도 어진을 그린 화사라는 자부심의 발로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정산군수직을 사임할 때 군민들이 채용신의 군수직 사퇴를 반대하고 계속 집무할 것을 희망하는 내용을 황성신문 1906년 4·16일자에 광고한 것은 무척이나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최치원이나 조선 초 태인현감을 지낸 신잠의 선정에 감복한 나머지 살아있는 사람을 위한 생사당(生祠堂)을 설치한 것과 비교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1906년 그는 56세의 나이로 관직생활을 마감하고 전북에 내려온다. 낙향 후 1941년 생을 마감할 때까지 화가 채용신의 활동무대는 전북지역이었다. 그는 면암 최익현, 매천 황현 등 우국지사들의 초상을 그렸고 <김영상투수도>나 <칠광도>, <송정십현도> 그리고 산수나 화조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제작했다. 또 한 폭당 169cmx183cm나 되는 화면이 8폭으로 구성되었고 중국역사의 일부이자 소설이기도 한 ‘삼국지연의’를 그린 『삼국지연의도』를 관우를 모신 관성묘에 모시기도 했다. 그 중 <적벽대전>은 역동적이고 박진감 넘치는 화면구성에 감탄을 금할 수 없는 작품이다.

채용신은 전통적인 초상화 제작기법에 근대적 시각체계인 사진을 이용하여 전통과 새로움, 근대와 현대의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또 대상의 사실정신과 이상을 두루 담고 있어 우리나라 근대초상화의 새장을 열었다.

전북지역에서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던 중 1923년 정읍시 신태인읍 육리에 초상화를 그려주는 ‘채석강도화소’라는 공방을 설립한다.

이곳은 사진을 보내주면 초상화를 그려주는데 사진이 없으면 사진사의 출장촬영도 가능하다는 친절한 고객만족 서비스와 함께 가격표시와 작가 이력을 담은 전단지를 제작, 적극 홍보하며 공격적 마케팅을 했다. 채용신의 아들 채상묵이 서울 종로에 사진관을 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쌀 한말이 3.5원 하던 시절 전신초상 100원, 반신상은 80원이었다. 또 산수화 12폭 병풍은 100원으로 초상화 입상과 같은 가격인 반면 화조화 12폭 병풍은 45원을 받아 산수화보다 대폭 저렴한 가격이다. 이는 화훼그림이 산수화보다 그리기 좀 더 쉬웠던 것으로 생각된다. 근대기 화가로서 이처럼 작품가격을 정하고 주문을 받는 경우는 아주 이례적이다. 요즘도 작품가격을 표시하고 주문을 받는 작가가 몇 명이나 될까?

채용신은 아들 채상묵과 손자 채규영 등과 함께 공방을 운영했다. 화가들의 경우 대를 이어 가업 승계하는 가문이 없지 않으나 초상화 작가 3대가 가업을 승계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일이다.

채용신의 작가적 특징 가운데 하나는 전업 작가로서의 모범을 보였다는 것과 자체 공방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미술을 천시하고 화가를 환쟁이라고 폄하하던 유교문화의 시대에 그림 그리는 일을 자신의 직업으로 내세워 전업화가로 활동을 했다는 것은 매우 주목할 만 하다. 또 그는 작품가격을 명시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했다는 점은 그를 근대성을 지닌 전업 작가라 부르는데 조금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그는 자신의 직업에 대한 강한 자부심이 있었고 직업의식이 투철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사진을 보고 초상화를 제작했을 때 실물과 닮지 않을 경우 책임을 지겠다” 라는 광고전단을 제작하여 널리 홍보를 하였고 제작주문을 적극적으로 받았다.

석지 채용신을 우리나라 근·현대미술의 시작으로 보아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견해다. 채용신은 양반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초상화전문 작가로 활동을 했고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는 초상화를 그렸다. 3대에 이르는 초상화 가업을 일구며 공방운영의 전문성과 현대적인 의미의 홍보와 마케팅전략을 구사했다. 채용신은 초상화 전문 화가로서 근대미술기의 전업 작가로서의 선구적 모습을 볼 수 있다.

채용신은 전북지역에서 화가로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고 그의 묘소 또한 익산왕궁에 있다. 석지 채용신은 창암 이삼만 등 전북을 대표하는 문화인물 중 하나로 꼽고 적극 선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국 근·현대미술의 시작을 알리는 그의 예술세계를 기리고 살아있는 채용신으로 의미부여하기 위한 전북도립미술관 <석지채용신과 한국의 초상미술>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이흥재<전북도립미술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