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개인은 물론 국가적 문제다
비만은 개인은 물론 국가적 문제다
  • 장선일
  • 승인 2011.10.13 16: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적십자사연맹(IFRC)는 2010년 연례 세계재난보고서를 통해 “지구촌 인구 가운데 약 20%에 달하는 15억 명은 비만 또는 과체중으로 고민하고 있는 반면, 15% 정도인 9억 2500만 명은 영양실조로 고통받고 있다”고 밝혔다. 결국, 비만인구가 저체중 인구보다 많아졌다는 보고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년 후인 2030년에는 비만인구가 전 세계적으로 30억 명이 될 것이라는 끔찍한 전망을 내놓았다. 현재 국가별로 비만은 미국이 31%로 세계 1위고 뒤이어 멕시코, 영국 등 7개 국가는 30%를 육박하고 있다고 한다.

원래 비만은 칼로리 섭취가 소모되는 양보다 많아 체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하는데, 그 원인은 유전적, 식사종류와 습관 그리고 생활환경 등 복잡하고 다양한 인자에 의해서 발생한다.

비만이 개인의 건강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사회·국가적 문제인 것은 세계 사망 1순위인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하여 매년 1,700만 명 이상이 희생되고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 비만은 성인형 당뇨병(type II diabetes)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당뇨 대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전 세계가 비만의 원인에 주목하면서 해결 방책을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비만, 유행병처럼 급속도로 확산

이렇듯, 왜 비만이 현대 사회에서 유행성 전염병과 같이 급속도로 번지고 있을까?

그 이유를 WHO에서는 지방, 소금과 설탕 등 과잉 식품 섭취와 신체활동량 감소 및 이동수단의 발달로 개발도상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기 때문이라 분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비만도는 3.2%로 OECD 국가 중 일본에 이어 28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비만도 수치가 낮은 것은 우리나라 고유의 식단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 식단인 한식은 발효식품과 더불어 채소류와 다양한 나물 등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산업화와 더불어 서구식인 인스턴트-패스트푸드에 이미 익숙하게 되었기 때문에 비만으로부터 결코 안전할 수 없게 되었다. 그 증거로 통계청 자료를 보면, 2008년 우리나라 인구의 과체중과 비만인구를 합하면 31%로 지난 1998년 26%에 비해 5%가량 증가했다. 우리나라가 걱정해야 할 것은 다른 나라에 비해 급속도로 비만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고, 현재의 증가율이라면, 15년 후에는 인구의 절반 이상이 과체중 및 비만 때문에 고민할 것이다. 더욱이 최근 소아·청소년을 비롯한 20대 미만의 비만인구가 급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어떻게 하면 비만을 줄일 수 있을까?

국민건강증진정책 체계적으로 세워야

개인적으로는 지방과 설탕 그리고 소금 섭취를 줄이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녹황색 채소 섭취량을 늘려야 한다. 더불어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운동량을 늘리고, 기름진 음식과 술이 가미된 잦은 회식문화를 줄여야 한다.

사회·국가적으로는 비만으로 야기되는 고혈압, 동맥경화, 고지혈, 심근경색 및 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과 당뇨병 등 대사성 질환의 위험성을 체계적으로 알리는 대국민건강보건 캠페인을 벌이는 동시에 비만환자들을 교육하고 관리할 수 있는 국민건강증진 정책을 체계적으로 세우고 여기에 소요되는 경비를 지원해야한다.

비만은 단지 체중이 많이 나가고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것이 아니라 심각한 대사성 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에 1996년부터 세계는 질병으로 간주하고 적극적인 치료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세계 초강대국인 미국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까지 나서 비만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적극적인 관리 대책에 들어가게 한 것도 비만이 질병으로 국민건강을 크게 훼손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비만에 대한 적극적인 억제 대책이 세워지지 않는다면, 지구상에서 인간 체형의 모습은 본래의 모습과 달리 통통한 풍뎅이형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이러한 끔찍한 모습으로 인류가 진화되지 않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노력과 더불어 국가적으로 비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적극적인 국민건강관리 정책이 하루빨리 체계적으로 세워져 국민행동강령으로 이어져야 한다.

장선일<전주대학교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