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이제는 신사회운동 확대를 위해 박차를 가하자
시민단체, 이제는 신사회운동 확대를 위해 박차를 가하자
  • 최낙관
  • 승인 2011.05.04 16: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 한국사회에서도 시민사회와 통상 NGO로 지칭되는 시민단체는 더 이상 낯선 존재가 아니다. 1987년 6·29 민주화 선언이후 민주화 이후 한국의 시민사회는 거대한 지각변동과 함께 활화산처럼 분출하기 시작했고 국가와 시장을 보완하는 중요한 축으로 자리매김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우리의 시민단체들은 정치민주화를 위해 헌신적인 ‘실천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 바 있다. 예컨대 대의의 대행자로서 시민단체들은 선거가 있을 때마다 후보자 정보공개운동, 낙선운동, 당선운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치참여를 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4·27 재보궐선거에서 시민단체의 목소리는 언론의 주목을 받을 만큼 그리 크지 않았다. 왜 그럴까? 가장 본질적인 이유는 시민단체의 이슈제기와 관련하여 운동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으로 진단해 볼 수 있다. 이제 시민단체들은 선거를 통한 정치참여보다 직접적인 현실문제 해결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원론적인 입장에서 볼 때, 시민단체는 그들이 행하는 사회운동을 통해 정체성과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시민단체에 의해 추동되는 사회운동은 불평등과 같은 기존의 불합리한 사회질서와 규범에 대한 저항을 통해 사회변화를 추동하고자 하는 궁극적 목적을 지향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사회운동이 지속적으로 가능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그 운동의 당위성에 대해 시민사회가 공감할 수 있어야 하고, 나아가 그 공감대에 기초한 시민들의 현실참여가 있어야만 한다.

하지만 시민운동은 사회주의 국가들의 몰락이후 이념적 대립이 사라지면서 과거의 체제 변혁적 사회운동에서 새로운 형태의 사회운동, 즉 복지, 환경, 여성, 반핵, 평화, 반문화 그리고 대안적 삶 등과 같은 다양한 생활세계의 문제해결에 관심을 갖는 신사회운동(new social movement)으로 그 축이 이동하고 있다. 신사회운동은 일찍이 엘리트 중심의 운동이 이루지지 못했던 시민참여를 유도하는 가교역할을 통해 시민들 스스로가 자발적으로 자신의 능력과 자원을 언제 어떻게 무엇을 위해 사용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유인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신사회운동이 그 성격상 직접적인 정치참여를 통해 사회적 변혁을 꾀하는 ‘개혁의 정치’보다는 여론을 형성하여 압력을 행사하는 이른바 ‘영향력의 정치’를 지향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신사회운동은 권력의 장악이라기보다는 사회·문화적 영역 속에서 시민 스스로가 운동의 주체가 되어 다양한 가치관과 생활양식을 보호하고자 하는 탈이념적, 초계급적 사회운동으로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이제 우리 지역사회의 풀뿌리 시민단체들은 사고와 행동의 전환을 통해 시민과 지역주민들의 욕구에 부응하는 신사회운동에 진정성을 가지고 동참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지역발전을 위해 현재 진행 중인 LH 이전문제, 지역 상권을 보호하기 위한 재래시장 활성화 문제, 전주시 버스파업 등 많은 현안 문제에 보다 적극적인 개입이 절실히 요구된다. 시민단체들의 연대와 실천적 행동이 구체화될 때, 비로소 합의도출을 위한 시민단체의 영향력은 가시화될 수 있다. 그렇게 될 때, 우리지역의 삶의 질과 복지수준은 그만큼 높아질 거라 확신한다. 따라서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자생적 시민운동으로서 신사회운동의 영향력은 한편으로 생활 속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지역사회의 변화와 발전을 유도하는 견인차적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시민사회의 역동성이 활화산처럼 깨어날 수 있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요구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제는 우리 지역사회에도 신사회운동의 확대를 통해 소통과 화합은 물론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건강한 사회가 한껏 꽃피길 기대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