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하사극의 진일보 혹은 명품 정치드라마
대하사극의 진일보 혹은 명품 정치드라마
  • 장세진
  • 승인 2009.12.29 14: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MBC대하드라마 ‘선덕여왕’이 12월 22일 62부를 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선덕여왕’은 평균 시청률로는 2위를 차지했지만, 방송평론가·연출가 등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올해 최고의 드라마였다. 40%대 시청률을 기록하며 가히 국민드라마로 군림했다 해도 시비할 사람이 없을 듯하다.

실제로 지난 10월 마지막 일요일 ‘선덕여왕’ 세트장이 있는 경주신라밀레니엄파크를 갔을 때 그 인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 세트장은 그야말로 인산인해로 인해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였다. 귀가하려고 시내를 벗어나 고속도로로 접어드는 데만 1시간도 더 기다려야 할 만큼 ‘고통’을 안겨준 ‘선덕여왕’이었던 것이다.

5월 25일 첫 방송부터 끝까지 한 번도 빼지 않고 드라마를 지켜본 나로서는 먼저 그 이전의 대하사극들을 떠올리게 된다. ‘선덕여왕’은 ‘자명고’, ‘천추태후’, ‘바람의 나라’ 등 최근 1년 사이 전파를 탔던 대하사극에 비해 진일보한 드라마라 할만하다.

그들 대하사극이 부진했던 것은 새로운 트렌드 개발 실패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많다. 잠자던 민족적 자긍심을 일깨운 ‘주몽’(2006)이나 ‘대조영’(2007)과 ‘태왕사신기’(2007) 들에 이어 ‘이산’(2008) 등이 시청률 30%를 웃도는 등 성공했지만, 올해의 경우 그게 없어졌다는 것이다.

대하사극 침체기류를 한방에 날려버린 ‘선덕여왕’이 된 셈이다. 흥미로운 것은 여걸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자명고’나 ‘천추태후’가 외면받았던 것에 비해 같은 설정인데도 ‘선덕여왕’만이 국민드라마 반열에 올랐다는 사실이다. 뭔가 안맞는 것 같지만, 거기에는 차이점이 엄존한다.

우선 미실역의 고현정이 너무 큰 인기요인이 되었다. 악녀가 분명한 미실을 고현정은 악녀같지 않게 연기하는 괴력을 발휘했다. 상당부분 작가의 몫에 해당하는 캐릭터 형상화에 고현정의 표정, 몸짓, 대사 등 연기가 금상첨화의 결과를 가져온 셈이라고나 할까.

스토리 전개의 기교도 인기몰이에 한몫했다. 극본(김영헌·박상연)과 연출(박홍균·김근홍)의 공동 힘이겠지만, 시청자들로 하여금 매회 궁금증이나 애태움 같은 정서를 갖게 하여 드라마에 대한 ‘충성도’를 이끌어낸 것. ‘자명고’나 ‘천추태후’에서 보듯 그것이 작가나 연출자 누구나 할 수 있는 테크닉은 아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요인은 기존 드라마에 거의 등장하지 않았던 신라와 최초의 여왕 이야기일 것 같다. 우선, 이른바 삼국통일로 영토 축소와 자주성 훼손을 가져온 신라의 저력에 대한 호기심이다. 태어나면서부터 기구한 운명에 빠진 덕만(이요원)이 선덕여왕에 오르고, 이후의 고군분투기가 경제난 속 각박해진 시청자들에게 대리만족을 안겨줬을 법하다.

그러나 역사와 허구의 경계를 허물어뜨려 혼란에 빠지게 한 점, 명확한 선악 구분이 촌스럽다하더라도 전형적 악녀 미실을 좋은 인상으로 남게 한 일종의 최면효과 등은 되새겨볼 문제이다. 역사에 가정이 있을 수 없듯 아무리 현대적 재해석을 한다하더라도 악인은 악인일 뿐이니까.

스펙터클해야 할 대하사극이라는 점에서 실소를 자아내게 하는 오류도 짚고 넘어갈 문제다. 가령 60부(12월 15일 방송)에서 나라의 명운이 걸린 쿠테타 주모자를 체포하러 가는데 고작 7명의 장졸만 출동하는 걸 예로 들 수 있다.

제61, 62부 거의 대부분을 할애한 비담(김남길)의 난 묘사도 아쉽다. 결국 정신적 불구자인 비담에 대한 인기가 치솟자 선덕여왕과의 로맨스를 너무 작위적이면서도 집요하게 전개한 것은 아닐까? 그렇더라도 ‘선덕여왕’은 대하사극의 진일보한 면모를 보인 ‘명품’ 정치드라마임에 틀림없다.

<장세진 군산여상 교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