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병천 민족통일전라북도협의회 회장> 탈북자 문제 해결은 통일국가 시금석
<유병천 민족통일전라북도협의회 회장> 탈북자 문제 해결은 통일국가 시금석
  • 이방희
  • 승인 2009.08.13 13: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독일통일의 전문가들은 말한다. “수십 년 떨어져 살다가 불과 20년 만에 동질성을 회복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통일 이후 동독주민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깊은 상처를 받았다. 감정의 골을 메우고 진정한 통합을 이루는 데에는 2∼3세대의 기간이 필요하다.” 우리의 통일도 통일후 북한주민이 자신을 2등 국민으로 느끼게 하는 통일이 되어서는 안 된다. 통일 후 북한주민들이 자신을 일등국민으로 여길 수 있는 통일이 되어야 한다. 차별과 소외가 없는 통일을 준비하는 것이 가장 빠른 통일의 길이다.

이러한 후유증을 극복하는 방안을 미리 준비하기 위해서는 탈북자들의 한국사회정착경험을 활용해야 한다. 북한이탈주민 정착교육 시설인 하나원의 경험도 소중하다. 현재 탈북자는 1만6000여 명이다. 하나원은 12주 동안 420시간에 걸쳐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시장경제 교육를 비롯해 컴퓨터와 제과·제빵 등 직업교육을 진행한다. 사회에 발을 내딛기 전에 예행연습을 하는 셈이다. 주민등록번호도 이곳에서 부여돼 탈북자들에겐 제2의 고향으로 여겨지는 곳이다.

탈북자들이 성공적으로 한국사회에 정착하는 문제는 미래의 통일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우리는 탈북자들의 한국사회정착과정의 경험을 통해 남·북통합이 가져오는 문제점들을 미리 실험해 볼 수 있다. 탈북자문제는 정착지원 문제를 넘어 선진화와 통일로 가는 시금석이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탈북자들을 성공적으로 한국사회에 적용하게 할 수 있다면 우리는 남·북한 통합과정이 아무리 힘들더라도 희망을 가질 수 있다.

정부는 역사적 책임감을 갖고 탈북자들의 성공적인 정착을 지원해야한다. 한국사회에 적응 못하는 탈북자들이 늘어날수록 그 만큼 남북한 통일은 멀어진다. 진정한 통일은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통일이어야 하고, 그러한 통일은 통일후 북한주민이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소외감을 느끼지 않는 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한 통일을 위해서는 우리는 정치·경제·사회·문화적 통합을 가로막는 요인들은 무엇이며 그 요인들을 극복할 방안들은 무엇인지를 찾는 전문연구인력들이 필요하다.

정부는 남북통합의 실험실의 역할을 하는 하나원에 대해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전문가들이 공동으로 탈북자들의 남한사회정착과정에 대해 연구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탈북자 김철웅씨는 “탈북자들은 남한 사람들에게 먼저 다가온 ‘미래’라고 생각한다”며 “탈북자들의 존재로 인해 올바른 통일방안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탈북자의 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런 좋은 아이템을 우리(남한 사회)가 충분히 활용해야 할 것이다.”

한국의 경제성장과 국가발전은 현재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감소와 내수시장의 한계, 노동력의 부족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길은 남·북통일에 있다. 올해 64번째로 맞이하는 광복절은 남과 북 8천만 동포가 하나가 되어 선진 강국으로 나아가야 할 때임을 다시 일깨워 주고 있다. 미래를 준비하는 자만이 그 미래를 가질 수 있는 것처럼 우리도 ‘가까운 미래’인 통일에 대한 본격적인 준비를 위한 투자를 더 이상 늦출 수 없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