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사업> ③광역경제권 대응
<현안사업> ③광역경제권 대응
  • 남형진
  • 승인 2008.04.11 16: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도 경계 넘어 '경제통합' 추진
지난 2월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수많은 국정 실천 과제를 발표했다. 그러나 정부의 국정 실천 과제들은 사실상 경제살리기라는 하나의 대명제로 귀결되고 있다.

그만큼 경제 부흥을 국정 기조로 내걸고 있으며 그 핵심에는 광역경제권 구축을 통해 기존의 지역별 경제가 지닌 한계를 넘어서는 규모의 경제권 설정을 일궈내 국제적인 무한경쟁 시대에 대비해 나간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어 이를 잘 활용한다면 전북에게도 한단계 도약하는 기회의 시기가 도래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 지난 9일 치러진 제18대 총선을 통해 향후 4년동안 도민들을 대표해 지역 발전을 이끌어 나갈 11명의 도내 국회의원들이 결정됐다.

이들 11명의 도민 대표들은 앞으로 새 정부의 국정 추진 방향을 면밀히 감지해 지역 발전으로 연결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하는 막중한 사명을 안고 여의도로 입성하게 된다.

새 정부가 지향하고 있는 광역경제권 구축은 낙후 전북에는 새만금 종합개발사업과 부품소재, 신새쟁에너지, 식품산업 등 최근 육성중인 신성장동력 산업의 육성 기회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낳고 있다.

전국을 5+2 광역경제권으로 묶는다는 것이 정부의 계획이며 전북은 전남·광주와 함께 호남권으로 분류돼 있다. 그러나 이같은 정부의 계획에는 실효성 있는 규모의 경제 구축을 위해서는 초광역권 구축도 언제든지 가능토록 하고 있다.

다시말해 전북이 속한 호남권을 벗어나 수도권을 비롯한 충청권, 대경(경북·대구)권, 동남권 등 타 광역경제권과의 산업 발전을 위한 연계도 과감하게 지원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정부는 보이고 있다.

때문에 광역경제권 구축이라는 정부의 계획을 전북 도약의 계기로 삼아나가기 위해서는 타지역과의 유기적인 협력과 중앙 정부와의 중재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전북은 물론 기존 행정구역별로 진행중인 각종 사업들이 지역별로 유사성을 띠고 있어 사실상 경쟁을 통해 타 지역의 밥 그릇을 빼앗아야 하는 상황도 불가피해 질수 있으며 반대로 전북이 육성중인 성장동력 산업의 주도권을 타 지역에 넘겨줘야 하는 상황을 맞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내 정치권의 역할론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도 이 대목이다.

실제 정부가 추진할 계획인 광역경제권 육성안에는 새만금 세계경제자유기지 조성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전남 광양만경제자유구역, 무안·해남·영암 기업도시 등이 호남권 대삼각 프로젝트로 묶여 있다.

또한 전북이 역점을 기울이고 있는 첨단·부품소재산업과 식품산업, 신재생에너지 등의 산업 분야도 광주·전남을 비롯한 타 지역에서도 이미 상당부분 진척을 보이고 있다.

광역경제권 구축의 의미가 지역별로 분산돼 있는 산업 분야를 통합, 경쟁력 강화를 도모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가장 우선적인 고려사항이 경쟁력이겠지만 결과적으로는 정치적인 논리가 상당부분 작용할 수 밖에 없다는데 무게감이 실리고 있다.

이에 따라 18대 국회에 진출한 도내 출신 국회의원들이 어느 정도 지역 발전의 몫을 찾아낼 수 있는지 여부가 그 어느 시점보다 중요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가 광역경제권을 토대로 지역별 한계를 넘어서는 규모의 경제를 구축하겠다는 명분을 내세워 과감한 경제 혁신을 추진할 경우 전북 발전의 몫을 당당하게 챙길수 있는 논리 확보가 도내 정치권에게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남형진기자 hjna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