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식아동 누구의 책임인가
결식아동 누구의 책임인가
  • 승인 2004.02.20 02: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제침체의 후유증으로 나타난 대표적 현상이 대량실업과 빈부격차의 극대화라 볼 수 있다. 아직도 실업률이 8%를 상회하고 있고 청년실업자가 85만 명이 넘는다고 하니 과연 우리 사회가 복지적 개념을 구축하고 있는가 의심스럽다. 비록 국민소득이 1만 불을 넘어 1만5천불을 내다보고 있다고는 하나 국민 저층과 소외계층들의 삶의 문제가 얼마나 열악하고 빈곤에 시달리고 있는가 주시해야 할 일이다.

 전북도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경제적 빈곤과 가족해체에 따른 결손 등으로 급식지원을 받는 어린이가 2002년에 200명에서 2003년 267명, 2004년 300명으로 최근 3년 동안 30% 가깝게 증가했다. 이는 2000년 32명에 불과하던 것이 4년 사이에 10배가량 늘어난 셈이다. 결국 경제성장은 신장하고 있으나 빈곤층은 더욱 늘어나 우리의 경제정책이 국민 모두에게 고루 미치지 못하고 부익부 빈익빈이라는 비정상적 궤도를 치닫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물론 IMF란 미증유의 환란을 겪어 우리 경제가 벼랑끝까지 떨어진 이유도 있으나 우리의 경제정책이 너무나 성장위주로 달리다 보니까 자연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게되었고 정부가 이들의 문제를 너무나 소원하게 했다는 것이다. 이유야 어떻든 경제침체로 인해 가산이 파탄되고 가족이 뿔뿔이 헤어져 아이들이 끼니를 걱정할 정도가 되었다면 이것은 전적으로 사회가 책임져야할 문제다.

  우리는 아동들이 끼니를 때우지 못하고 굶는 일이 있어서도 아니 되겠으나 이것은 남의 일처럼 바라만 보고 있어서도 아니 된다. 물론 하루 두끼니는 식비를 주거나 도시락 등으로 그들의 굶주림을 해결해준다 해도 한 끼니의 문제는 누구도 해결해주지 못하고 있다.

 소위 선진국을 지향하고 국민복지 개념이 성숙 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이런 사각적인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은 우리 모두가 반성해야 할 일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일은 이 문제를 정부에만 맡길 일이 아니라 국민 모두가 함께 관심을 가지고 해결해야 한다. 이제는 우리도 이웃을 살피고 나보다 남을 위한 사회정신이 구축되어야 한다는 점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