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교육 활성화 방안
농어촌 교육 활성화 방안
  • 태조로
  • 승인 2004.03.24 16: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어촌이 비어가고 있는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예로부터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라 했다. 자고로 의식주의 기본은 단연 식생활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먹거리를 생산하는 농어촌이 홀대를 받는 까닭은 무엇인가?

경제 개발을 국가의 지상 목표로 삼은 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된 공업화 정책으로 인구의 도시 집중을 부추겼고, 급기야 농어촌 공동화(空洞化) 현상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었다.

농어촌 인구의 격감은 자연스럽게 농어촌 교육을 침체의 늪으로 빠뜨렸다. 학생 없는 학교나 교사를 상상할 수 없다. 해가 갈수록 늘어나는 통폐합 학교는 보는 이의 가슴을 아프게 한다. 지역사회 문화의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해 온 농어촌 학교가 이제는 역사의 뒤안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것이다.

우리 삶의 터전인 농어촌과 농어촌 문화의 센터인 학교를 살릴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일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가적인 과제이다.

농어촌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토의 균형적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의 문제는 교육만의 문제가 아니다. 사회의 문제요, 경제의 문제이기도 하다. 때로는 정치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들은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이른바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농어촌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어촌의 경제적 여건을 도시와 근접하게 조성하여야 할 것이다. 생활의 바탕인 일터가 마련되고 각종 문화 시설이 고루 형성되어 ‘무작정 상경’ 식의 대도시 인구 집중 사태를 방지하여야 한다.

농어촌 인구의 유인책이 필요하다. 산업의 기반인 1차 산업 즉 농업이나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도시 근로자들 못지않게 경제적으로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국가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기업농이나 대선주가 아니라도 열심히 일하면 의식주는 물론 자녀 교육과 문화적인 생활을 누릴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정책적으로 정착금을 보조하는 일이 일회적이고 형식적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노숙자가 될지언정 도시에 머무르겠다는 생각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농어촌에 가면 우선 의식주 문제가 해결되고,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을 수 있는 안정적인 생활의 터전이 마련되어야 한다.

  떠나는 농어촌이 아니라 돌아오는 농어촌이 될 때 농어촌 교육은 자연 활기를 되찾지 않겠는가.

농어촌 근무 교원에 대한 획기적인 우대 정책을 펴야 한다. 해마다 농어촌에 신규 발령을 받은 수많은 교사들이 사표를 던지고 대도시 임용고사에 응시하고 있다. 농어촌 학교보다 대도시 학교를 선호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생각할 수 있는 것으로 교통 문제를 들 수 있다. 생활의 근거지인 도시에서 출퇴근을 하는 데 따르는 부담을 줄이고 싶은 심정일 것이다. 가르치는 보람이야 지역에 차이가 없을 터이지만, 상대적으로 열악한 근무 여건을 감수하면서 농어촌 학교 근무를 자원할 사람은 드물다. 궁여지책으로 농어촌 근무 연한에 따른 가산점을 부여하는 제도를 시행하고는 있지만, 젊은 교사들에게는 먼 앞날의 일이요, 남의 일로 여기기 일쑤다. 교통비 지급, 보수의 차등 지급 등 획기적인 우대 방안을 제시하기를 바란다. 그리하여 젊고 우수한 교사들이 농어촌으로 발걸음을 되돌릴 때 우리 교육의 앞날도 밝아지지 않겠는가.

퇴락의 길로 치닫는 농어촌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토의 균형적인 개발로 문화의 사각지대(死角地帶)인 농어촌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산업 시설을 농어촌 지역으로 이전하거나 신설함으로써 도시에 밀집된 인구를 농어촌으로 유인하는 정책을 펼쳐야 하며, 농어촌 학교의 교육 여건과 근무 교원에 대한 획기적인 우대로 젊고 우수한 교사들을 농어촌으로 끌어들이는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문원익<전북도교육청 초등교육과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