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축산농가 갈수록 설자리 잃어가
소규모 축산농가 갈수록 설자리 잃어가
  • 한성천 기자
  • 승인 2004.06.14 16: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지역 소규모 축산농가들이 규모화·전업화 추세에 밀려 점차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14일 전북농협(본부장 고영곤)에 따르면 축산업의 발전 흐름이 ‘규모화·전업화→생산성화→친환경축산화·위생축산물화’ 등으로 변천해 감에 따라 한우 사육두수가 10마리 이하인 소규모 축산농가가 매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00마리 이상 축산농가는 늘고 있어 전북지역 축산업분야에 규모화·전업화 현상이 뚜렸해지고 있다.

 지난 10년 간 전북지역 축산농가 및 농가당 한우 사육두수 분포현황을 보면, 한우를 10마리 이하로 사육하는 축산농가는 지난 92년 58만5천172가구였다. 그러나 10년이 지난 지난 2002년에는 21만2천317가구로 급감, 92년대비 36%수준으로 급감했다. 가구수로는 37만2천859가구가 경쟁에 밀려 축산업을 포기한 것이다.

 가구당 평균 한우 사육두수도 지난 92년 3.5마리에서 2002년 6.6마리로 배가 증가했다.

 반면 한우 100마리 이상 대규모 축산농가수는 지난 92년 187가구였으나 10년이 지난 2002년에는 999가구로 급증, 무려 5배 이상 늘었다. 또 92년 당시에는 전북지역 내에 500마리 이상 한우 사육농가가 전무했으나 2002년에는 42농가에 달해 도내 축산농가가 규모화·전업화현상이 매년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도내 축산농가의 규모화현상이 빠르게 진전되고 있는 것은 2000년대 들어 축산업계에 불어닥친 ‘경영수익화’와 ‘친환경 축산정책’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전북농협 축산지원팀 관계자는 “농가당 사육적정두수가 경영수익화 실현을 위해 규모화로 빠르게 진행됐으며, 축산직불제·생산이력제 등 친환경축산정책에 맞춰 대규모 축산업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며 “최근에는 한 단계 업그레이드돼 수입육과 육우를 동시에 견제하기 위해 한우 품질 차별화와 수출사업 일환으로 위생축산물 제도가 널리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도내 축산업계에서는 경영합리화 및 국제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장수한우’ 등 지역별 브랜드화를 추진, 전국적으로 성공을 거둠에 따라 현재 도내에서는 ‘남원순창한우’, ‘고창부안한우’, ‘임실두메골한우’, ‘정읍숲골한우’, ‘익산황토우’ 등 광역축산물브랜드화가 추진 중에 있다.

 또 도내 축산업계는 국내소비에 그치지 않고 수출사업으로까지 확대키 위해 ‘위생축산물(생산자이력제 등)’를 적극 추진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