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산물 유통구조 개선 시급하다
농축산물 유통구조 개선 시급하다
  • 한성천 기자
  • 승인 2004.06.22 18: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축산물의 산지 가격이 떨어졌다면 소비자가격은 내릴까, 오를까.

 먼저 경제학 측면에서 답을 찾자면 ‘내린다’다. 이 같은 답을 기초로 하는 것이 경제학의 기본입문격인 ‘가격결정이론’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수요가 줄어들면 공급이 줄고, 가격 역시 하락한다고 규정한다. 일반적인 유통구조학에서의 상식이기도 하다. 하지만 유통현실은 기본이론이 통하지 않는다.

 최근 한우고기 산지 출하가격과 소비자 가격은 이중적 특성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6월 현재 도내 산지 수소(500kg 기준) 출하가격은 280만 원대. 6개월 전인 지난해말에는 410만 원대를 호가했다. 무려 30% 이상 산지 출하가가 하락한 것이다.

 도내 축산농가들이 바라는 적정가격은 330∼350만 원(암소 350∼380만 원, 3∼4개월 암송아지 210∼230만 원)이고 보면, 현재 산지 출하가격은 축산농가의 적자임을 쉽게 가늠케하는 대목이다. 그렇다면 소비자들이 동네 정육점이나 대형 유통업체에서 사먹는 한우고기 가격도 30% 이상 하락했는가. 아니다. 종전 가격 그대로 주머니를 열고 계산하고 있다.

 유통구조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은 어제, 오늘 이야기가 아니다. 정부도 물가안정정책 일환으로 유통단계 축소 등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지만 아직 현실에 반영되기는 시기상조란 인상이 짙다.

 결국 소비자단체나 생산자단체가 나서야 유통구조 개선은 이뤄질 것이라는 주장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전북도와 생산자단체·소비자단체·농협 등이 나서 한우고기 소비촉진 행사를 벌이기에 이르렀다.

 생산자인 한우 생산농가 및 단체들은 ‘직거래’방식를 통해 유통구조의 개선을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가 협력하지 않을 경우 이 역시 ‘메아리 없는 외침’에 불과할 것은 뻔한 일이다.

 최근 소비자가격 결정권이 점차 유통업계로 넘어가고 있다. 산업사회가 빠르게 진전되면서 그만큼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가교 역할이 증대됐기 때문이다. 역으로 보면 유통업계의 횡포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전북농협 한 관계자는 “농축산물은 생물이므로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유통단계를 줄여 나가는 방법을 통해 가격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하지만 민간 유통업계까지 포괄한 직거래 정착은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소비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동참가 시민정신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