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3기 도정 후반기 과제<上>
민선3기 도정 후반기 과제<上>
  • 박기홍 기자
  • 승인 2004.06.28 18: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한 도정 구현
7월1일로 민선3기 도정이 후반기로 접어든다. 2년을 질주해온 도정은 새만금과 원전센터 등 굵직한 현안의 실타래를 풀어가고, 공공기관 유치 등 새로운 도전에 나서야 할 때다. 그런 만큼 강한 도정의 면모를 되찾아야 하고, 뛰면서 생각하는 마인드를 도입할 시점이다. 민선 3기 도정의 후반기 과제를 3회로 나눠 제시한다. <편집자 주> 

 민선3기 도정을 바라보는 외부의 한 분석이 흥미롭다.

 연공서열을 중시하는 합리적인 도정이 스스로 발등을 찍는 우를 범한 사례가 적잖았다는 말이다. 역동적이지 못했다는 평가도 거침없이 흘러나온다. 물론 이 분석이 전적으로 옳은 것은 아니다. 하지만 “민선 1, 2기 때보다 도정의 긴장감이 느슨한 것은 사실이 아니냐”는 말에 “무슨 소리냐”고 되받아칠 사람은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 2년의 도정은 ‘창조적 긴장감’을 찾기 힘들었다는 지적이다. 긴장감이 떨어지다 보니 도정은 한 마디로 ‘휙휙’ 돌아가는 역동미를 느낄 수 없었다. 지역현안을 사수하기 위해 누구와 멱살을 잡고 싸웠다는 후문도 들리지 않는다.

  정부의 서해안 중심항만 개발 계획에 엉뚱한 목포신항이 포함되고 군산항이 배제됐지만 거센 반발의 목소리를 낸 도청 간부는 몇 명 되지 않았다. 내 소관이 아니면 어떻게 되든 상관없다는 투다.

 주어진 업무를 무난히 소화해 내면 그만이라는 식의 보신이 팽배했다면 너무 몰아친 것일까. 하지만 도의회의 현안 심의 당시, 새벽 한 두시까지 의회 건물에 불이 환히 켜져도 화들짝 놀라 돌아오는 간부가 단 한 사람도 없었다는 후문은 ‘늘어진 도정’의 일면을 말해주고도 남는다.

  ‘축 처진 도정’은 ‘프로 근성’이 없다는 비판으로 이어진다. 참여정부 들어 강조되어온 ‘국가 균형발전’과 ‘자립형 지방화’에서 가장 소외되고 있는 게 전북이다. 경제성과 개발잠재력을 중시하기 때문에 기반이 취약한 전북은 매사 후순위로 밀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중앙부처 관계자들은 “생떼를 써서 예산을 타는 시대는 지났다”는 논리를 편다. 가관인 점은 도의 고위 공직자 중 일부는 이런 논리에 스스로 도취해 있다는 점이다. 없는 집안에서 생떼라도 쓰는 것은 당연한 이치인데도 말이다.

 도정이 ‘도지사 1인 모노드라마’라는 말은 이런 맥락에서 나온, 뼛속 깊이 반성해 볼 말이다. 강현욱 지사는 28일 간부회의에서 시스템의 변화를 촉구했다. 고위직 3명에 대한 문책인사 역시 개인의 잘못이라기보다 역동성을 되찾아야 한다는 경고음이었다는 말이다. 2년 동안 지켜보고 권한을 준 만큼 이제 책임을 묻겠다는 경고의 목소리도 들린다.

 도청 주변에선 “민선 3기 도정의 최대 과제는 ‘창조적 긴장감’을 되찾는 일”이라고 말한다. ‘강한 도정’을 만들기 위해선 직원 모두가 긴장하고 전북발전을 위해 할 일이 무엇인지 숙고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몸을 던져 도정을 웅변하는 모습을 보고싶다”. 전직 고위 공무원 출신인 A씨가 말하는 요즘 ‘도정혁신론’의 요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