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제사건 특별해결방법은 없나
미제사건 특별해결방법은 없나
  • 승인 2004.07.21 18: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개월간 20명의 무고한 생명을 잔인한 방법으로 살해해 온 엽기적 살인사건 범인이 주민신고로 잡히게 되었으나 경찰의 수사능력과 치안망에 대한 불신과 주민불안은 오히려 가중되는 듯하다. 그만큼 범죄와 실종사건의 발생부터 범인 검거에 이르기까지 과정이 순수한 경찰수사력의 개가로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불신은 지방경찰이라 해서 예외가 아니다. 경찰관이 전주시 금암동 파출소에서 야간 당직근무 중 괴한에 의해 무참하게 살해된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동료 경찰관이 근무 중 살해당한 경찰 전체의 명예에 해당되는 충격적 사건인데도 장기 미제로 남는 등 무어라 언급하기 어려울 정도라고 할 것이다.

 살인사건등 인간의 생명 훼손에 관한 사건만이 아니다. 4년전 전주의 천연기념물 ‘곰솔’이 밑둥이를 드릴로 관통돼 독극물 투입으로 추정되는 요인에 의해 거의 전 부분이 고사해 가는 상황인데도,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의뢰한 샘플이 약물인지 여부를 가릴 수 없다는 이유로 수사를 종결하고 말았다.

 곰솔이 주위 땅 소유주와 관련된 인위적 고사라는 일반의 빗발친 여론도 아랑곳없이 수백년 묵은 전주의 천연기념물이 그런 운명을 당한 것이다. 게다가 ‘전주시가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와 ‘왜 경찰이 범인을 검거하지 못했느냐’는 전주시와 경찰의 갈등만 도져나왔다.

 우리는 그 동안 지방에서 벌어지는 많은 사건을 목격하고 수사 귀추를 주시하면서 중요 사건들이 시원스럽게 해결되지 못하는 그런 식의 결말을 적지 않게 겪어 온 것이다. 그로인해 끼치는 주민 불안과 경찰수사 불신은 쉽게 사그라질 수 없는 것이다. 연쇄살인 사건의 해결이 또다른 불안의 기억을 되살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물론 강력사건이 발생하는 업소나 인근주민의 신고 체계가 느슨한 것도 한몫을 거들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러나 바로 그러한 체계의 확립이나 업소 종사자들의 의식 변화, 심지어 경찰 자체의 구멍뚫린 안전망 개선 등까지가 모두 합쳐져 튼튼한 방범망으로 자리잡아야 하는 게 절실한 요구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