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혁신체계 구축을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 태조로
  • 승인 2004.08.27 16: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세기 동안 심각한 지역간 불균형발전을 보여왔다. 예컨대 수도권의 지역총생산(GRP) 비중은 1970년 37.2%에서 1999년 46.3%로 증가하고, 수도권의 인구비중은 1970년 28.3%에서 2000년 46.3%로 증가하였다. 특히 IMF 경제위기를 계기로 정보기술(IT)산업과 금융산업의 수도권 집중이 더욱 강화되었다. 또한 남한면적의 12%에 불과한 수도권에 대기업 본사의 88%, 공공기관의 84%가 집중해 있다. 이와 같이 수도권과 지방 간의 격차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

 이로 인해 지금 우리나라의 각 지방은 경제, 교육, 문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총체적 위기에 처해 있다. 우선 대부분의 지역경제가 침체의 늪에서 헤매고 있고 미래산업이 없다. 특히 21세기 신경제(New Economy)의 두 바퀴에 해당하는 정보통신산업과 금융산업은 거의 전부 서울에 몰려 있다. 지역별로 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테크노파크를 설립하여 신산업 육성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그 전망은 불투명하다. 지역경제는 미래비전이 없다는 점에서 심각한 위기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지방의 위기를 극복하고 중장기적으로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역혁신체계 구축이 추진되어야 한다. 지역혁신체계란(RIS) 미국의 ‘실리콘밸리’처럼 지자체·대학·연구소·기업·지방언론 및 시민단체 같은 지역 내 경제주체들이 상호 긴밀히 협조하여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산업을 육성하여 지역발전을 도모해 가자는 시도이다. 즉 지역혁신체계 구축은 20세기 산업사회가 21세기 정보사회로 이행함에 따라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인 지식기반경제에서 지역발전의 새로운 전략적 요소이다.

 지식기반경제에서 지역경제가 새로운 경쟁력을 획득하고 지역발전의 새로운 동력이 창출되려면 대학, 기업, 지방정부, 연구기관 등 지역 혁신주체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지역혁신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지역의 특성에 적합한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여 가치창출을 위한 지식을 부단히 창출하고 확신시킬 때 지속적 지역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이제 지역경제의 발전은 더 이상 단순한 물량투입을 통해서, 하드웨어 중심의 개발을 통해서는 절대 불가능하며, 휴먼웨어 즉 연구개발능력을 극대화하는 지역혁신체계의 형성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것은 절대적 명제이다. 그러나 현재 전북의 공단들이 갖고 있는 치명적인 약점은 두뇌기능이 부재하다는 사실이다.

 단순히 기업을 공간적으로 집적한다고 해서 그것이 저절로 새로운 기술혁신과 호혜적 이득을 가져다주는 혁신 클러스터가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기존 공단들에 대해서는 리모델링을 통해 연구개발기능을 강화함으로써 획기적인 재생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혁신기반이 취약한 공단은 기업과 대학 간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새로운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한편 지역발전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창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조직 내에 권위주의 문화를 타파하고 전문성에 바탕을 둔 합리 문화가 뿌리를 내리도록 해주어야 한다. 공무원의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 업무관련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석, 박사 학위 취득을 장려해야 하며 성과급 책정 시에 적절한 보상이 주어질 수 있도록 인센티브 시스템을 적극 개발해 나가야 한다.

 과거에 정부에서 지역발전을 위해 필요한 산업발전계획을 제출해 달라고 했더니 거의 모든 지자체가 IT, BT, NT 산업을 신청하였고, 일부 지역에서는 관련 전공자가 없어서 전공자가 아닌 사람들이 NT기술과 관련한 사업계획을 작성하는 사례가 있었다고 한다. 이처럼 ‘남이 하니까 무조건 우리도 해야 한다’는 방식으로는 아무런 혁신이 일어날 수 없다.

 적어도 우리 지역의 강점과 약점, 기회와 위협요소 등의 분석을 통해 기획해 나가야만 지역특성에 적합한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역발전을 꽤 할 수 있을 것이다.

서원동<한국토지공사 전북지사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