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지진 대응책 서둘러야
도내 지진 대응책 서둘러야
  • 승인 2005.01.10 18: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아시아의 지진 해일은 남의 일이 아니라 바로 우리의 일이라는 점에서 과연 우리 나라는 이 문제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정부는 올해부터 3층 이상 건물이나 1천㎡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서 내진설계를 하도록 건축법을 강화했다. 실로 만시지탄의 감이 없진 않지만 이러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다는 것이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그러나 도내의 경우 건물이나 건축물 그리고 중요 시설물이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내진설계가 되어있는가 그 상황을 살펴보면 참으로 안타까울 정도다. 건축물 내진설계는 88년에 강도 5.5∼6.6도에 견디게 기준이 제정되었으나 도내 135개 단지 1만9천호 가량은 이미 20년 이상 노후한 아파트이며, 4개 단지 377호는 재난관리 대상인 D.E급이며, 88년 이후에 지어진 아파트나 대형건물도 내진채택 여부가 불분명한 상태여서 한마디로 지진 불감증에 노출되었다고 봐야 할 것이다.

 또한 교량 역시 총 1천830개에 이르고 있으나 이중 800여 개는 내진 개념조차 도입되지 않았던 시기에 건설되었으며, 지난 93년 이후 건설된 1천 개의 교량도 내진설계 여부를 가리기 어려워 사실상 도내의 건축물은 지진에 취약하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불행이 닥친다면 그 결과는 그 누구도 보장할 수 없는 참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우리는 남아시아의 참상이 결코 강 건너 불이 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전북의 건축물이나 중요 시설물에 대한 지진 방재대책을 철저히 강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더욱이 최근 들어 한반도 역시 크고 작은 지진이 한해 수십 차례씩 발생하고 있고, 전북의 경우는 지리산 지진대가 자리잡고 있어 한시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본다면 이 문제의 심각성은 무엇보다도 크다는 점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전북의 지진대비 문제는 시급을 요하고 있다. 우리는 먼저 건축물의 안전진단부터 실시해야 할 것이며 부실하거나 내구연한이 소진된 건축물에 대해서는 특별관리하는 한편 지진에 대비한 내진시설을 갖추도록 총력을 기울려야 한다. 거듭 말하지만 남아시아의 지진 해일을 우리는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