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사람의 꽃, ‘어머니’를 연극에서 만나다
15. 사람의 꽃, ‘어머니’를 연극에서 만나다
  • 이원희
  • 승인 2006.05.07 14: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몇 년 전 악극 ‘불효자는 웁니다’가 공연됐다. 나문희와 이덕화가 열연한 이 연극은 어머니의 사랑이 무엇인지 관객들에게 그 실체를 똑똑히 알게 한다. 애오라지 자식의 출세가 희망인 어머니는 지문이 닳아빠질 정도로 고생하는 것도 오히려 기쁨이다. 아들은 장성해 서울에서 대학에 다니며 가정교사 노릇을 하면서 출세길에 오른다. 고향에서 홀어머니를 지극정성으로 모시는 옥자와의 사랑도 외면한 아들은 시쳇말로 잘 나가는 인물이 되었다. 아들의 행복한 결혼생활을 파괴할까봐 어머니는 참혹한 처지임에도 불구하고 떳떳하게 나서지 못한다. 어머니는 오직 아들과 손자의 모습을 보는 재미로 아들집 문밖에서 날마다 서성댈 뿐이다. 그리고 어머니는 슬픈 인생을 마감한다. 현실의 행복에 눈이 멀어 어머니를 알아보지 못한 아들은 절규하지만 이미 어머니는 이승의 사람이 아니다. 추상화된 어머니의 그리움은 ‘불효자는 웁니다’라는 노래에 의탁되어 산 자의 회한을 눈물로 드러낼 뿐이다. 국립극단 공연작 ‘지붕 위의 바이올린’ 역시 부모의 사랑과 자식들의 삶을 밀도 있게 다룬 서정적인 작품이다. ‘해가 뜨고 해가 지는’ 세월이 흐르는 사이, 아이들은 자라 부모의 뜻을 거스르며 각자 사랑을 찾아 떠난다.


 자식들에게 부모는 마냥 거부와 저항의 존재인가. 어쩌면 삶의 과정이란 부모와 자식 사이의 갈등과 쟁투의 영속일거라는 불온한 생각이 든다. 존재의 터인 부모를 거부하면서 자식이 탄생하는 모순의 싸움. 낡은 것을 뚫고 일어나는 새 것의 분출, 이 두 힘 사이에 인간 존재의 비극성이 존재한다. 낡은 것은 한물갔으니 쓰러질 수밖에 없고 새 것은 약동하는 생명의 의지가 있기에 낡은 것을 파괴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중요한 사실은 낡아진다는 의미가 오직 자연적인 소멸이 아니라는 점이다. 온전한 새 것을 만들어주기 위한 자기파괴 행위가 곧 낡음의 의미이다. 부모의 자식 사랑은 바로 이 점, 자식의 행복과 안전을 위해 부모의 희생행위다. 천승세의 ‘만선’ 역시 어머니의 거룩한 눈물을 보이는 작품이다. 삼대의 목숨을 바다에 묻은 것도 모자라 ‘청대’같은 아들 셋을 바다에서 잃은 ‘구포댁’은 강포에 쌓인 어린 갓난애를 뭍으로 보내 목숨을 보전하려고 한다. 어머니의 이 지악한 마음은 먹고사는 일보다도, 남편의 욕망보다도 앞선다. 아일랜드 극작가 존 밀링턴 싱의 ‘바다로 가는 기사들’을 연상케 하는 이 작품에서 구포댁은 진정 어머니의 초상화가 아닌지.


 동서의 연극작품에서 어머니의 거룩하고 눈부신 사랑은 하늘의 별처럼 찬란하게 많다. 사람이라는 이름의 꽃, 어머니. 그 존재가 있기에 인간의 마음은 희망으로 열려 있다. 어버이날이다. 카네이션 꽃잔치만이 아니라 이 참에 어머니의 존재적인 의미를 찬찬히 새겨 가슴에 담아봄이 어떨까. 어머니의 눈물을 닦을 수 있는 건 어머니를 울게 한 우리 아들딸이 아닌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