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매장시대, 행정의 대응 전략
대형매장시대, 행정의 대응 전략
  • 이보원
  • 승인 2006.10.25 13: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형유통매장 개장때마다 그랬듯이 삼성홈플러스 전주점 개점을 둘러싸고 말들이 무성하다.

논란의 요지는 대형매장이 우후죽순으로 들어서 지역 상권을 잠식하는 마당에 자본과 마케팅, 시설 면에서 경쟁력이 막강한 대형매장이 또하나 들어서면 지역상권이 초토화 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지역상권과 지역주민들의 반발 분위기속에 인허가권을 틀어 쥔 전주시는 홈플러스측으로부터 최대한 지역협력사업을 이끌어 내겠다는 각오인 것 같다.

 추가적인 교통소통대책과 지역주민 채용을 통한 고용창출, 지역특산품 구매, 용역업체 현지화, 임대점포 운영에 지역주민 참여, 복지시설 운영, 인근 공터 매입 활용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달 12일 홈플러스 익산점을 개점한 삼성테스코측도 시측의 요구사항을 항목별로 따져 수용 여부를 신중히 검토하는 한편 익산점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전주시와 협상에 나선다는 복안인 것 같다.

 대형매장의 지역 진출을 계기로 지역주민들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상품 판로 확대, 영업이익의 지역 환원등 업체의 지역사회 기여를 이끌어 내려는 전주시의 이런 자세는 당연지사로 여겨진다.

하지만 사업승인 당시와 개점 당시에 협상할 내용은 분명 달라야 한다. 교통소통대책은 사업승인 당시부터 이미 예견됐던 중대 사항이다. 그런데도 교통영향평가까지 거쳐 건물이 들어서고 개점을 목전에 둔 시점에서 교통대책을 요구하는 것은 어찌보면 행정의 책임회피이자 떳떳하지 못한 행정으로 비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된다.

 사업승인 땐 언제고 ‘이제 와서 발목잡기냐’는 업체측의 반발, 그리고 이러니 지역에 기업이 오겠느냐는 말까지 나오는 것도 무리는 아닌 듯 싶다.

 애당초 지금과 같은 교통대책을 요구했더라면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해결책이 나왔을 텐데 개점날짜 잡아 놓은 빼도 박도 못하게 된 다급한 처지를 몰아붙여 해결책을 내놓으라고 하니 돈은 돈대로 깨지고 일은 일대로 꼬여만 간다는 게 업체측의 불만이다.

 지난 97년 대형유통업체가 전주에 처음 진출한 이후 지난 10년 동안 도내에만 매장면적 3천㎡이상의 대형매장이 무려 12개나 오픈했다. 입점 초기 연 116억 원에 불과했던 대형매장들의 매출액은 올들어 8월말까지 6백억 원대에 달할 정도로 천문학적인 지역자금의 역외유출이 현실화하고 있다.

 대형매장의 잇단 개점이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대세이며 대형매장 입점도 또 다른 형태의 기업유치로 본다면 이제는 행정도 접근방식을 수정해야 할 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대형매장들의 진입을 어차피 막을 수 없고 대형매장 쇼핑이 트렌드로 자리잡았다면 이제는 대형매장끼리도 경쟁이 필요하며 토착상권은 다른 방식으로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

 건물 준공이나 인허가를 명분으로 일시적인 지역협력협약을 이끌어 낼 게 아니라 대형매장이 철저히 현지 기업화 하도록 지혜를 짜내고 중지를 모아 나간다면 대형매장도 지역경제에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으며 그 역할을 행정이 해야 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대형매장의 진출로 고사위기에 직면한 지역 상인들이 대형매장에 입점하도록 지자체가 입점 허용을 적극 이끌어내거나 지역 산품 구매 비율을 지금보다 대폭 상향조정해 지역업체들의 매출을 늘리는 것 등이 그 방법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대형매장들도 우선 먹기는 곶감이 달다고 매출에만 열을 올리다보면 우물물 말라붙듯 지역자금로 말라버리는 만큼 지역산품 구매확대와 현지인 고용창출을 통한 매출자금의 환류로 지역경제 기반을 탄탄하게 다져가면서 성장하려는 영업전략이 거시적 상생의 길임을 망각해선 안 된다. 

<경제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