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피 못잡는 '특화형 연구단지'
갈피 못잡는 '특화형 연구단지'
  • 박기홍기자
  • 승인 2007.08.30 17: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내 전역 네트워크형 추진 '특구법' 적용 힘들어
제2 대덕특구로 조성하겠다는 전북도의 ‘특화형 연구단지’ 조성사업이 1년째 방향을 잡지 못한 채 갈팡질팡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는 완주군에 있는 전주과학산업단지에, 신규 복합연구단지를 새로 지어 1천만㎡(약 300만평) 규모의 전북 특화형 연구단지, 이른바 ‘제2 대덕특구’로 조성하겠다고 지난 7월말 발표한 바 있다. 이는 기존의 지방 연구단지를 특구화하는 과학기술부의 연구단지 활성화 기조에 맞춘 것으로, 기존의 3천300만㎡를 조성하겠다는 ‘제2 대덕’ 방침은 사실상 철회한 것이다.

도는 그러나 두 달이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전주과학산단을 중심으로 도내 전역의 네트워킹을 통한 특화형 연구단지 조성 쪽으로 방향을 또다시 선회,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도는 “특화형 연구단지를 한 곳에 집적화하면 되레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해괴한 논리를 앞세워 ‘공간적 배치’에 무게를 두지 않는 대신 ‘연구기능의 네트워킹’에 집중하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이 경우 ‘대덕연구개발 특구법’ 적용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 등 문제가 적잖아 도의 방향성에 의문점이 찍히고 있다.

실제 특화형 연구단지가 ‘대덕연구개발 특구법’의 적용을 받기 위해선 ▲이공계 대학 3개 이상 유치해야 하고 ▲국립연구소 3개 이상 포함한 과학기술 분야 연구기관 40개 이상 유치해야 한다. 만약 ‘특화형 연구단지’의 공간적 범위를 ‘도내 전역’으로 하거나 군산­-완주-정읍 등 ‘광역 시·군’ 쪽으로 할 경우 특구법 적용 여부는 극히 불투명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도 역시 이 문제에 대해선 난색을 표명, 특화형 연구단지의 정체성 확보와 구체적인 방향성 정립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선 “도가 구체적인 방향과 목표도 설정하지 않은 채 특구법 적용을 위해 특화형 연구단지를 꿰맞춰 가고 있는 것 아니냐”며 “공간적 배치 등 기초 밑그림을 그리지 않은 채 수시변경 처방에 나설 경우 행정의 신뢰성 문제가 제기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