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명희문학관, ‘아내에게 들려주고 싶은 「혼불」 속 우리말’ 야외 전시
최명희문학관, ‘아내에게 들려주고 싶은 「혼불」 속 우리말’ 야외 전시
  • 김미진 기자
  • 승인 2023.03.15 16: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설 ‘혼불’ 속 우리말이 전북의 시인·작가들이 쓴 진솔한 예문으로 관람객을 만난다.

 지난해 ‘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우리말’을 주제로 한 야외 전시로 큰 호응을 얻었던 최명희문학관이 올해는 ‘아내에게 들려주고 싶은 ‘혼불’ 속 우리말’을 아주 특별한 문장으로 소개한다.

 함께한 문학인은 김병용·서철원 소설가와 문신·임희종·정철성 문학평론가, 신병구·이병초·장창영·장현우·조석구 시인. 열 명의 시인과 작가는 열 권인 ‘혼불’을 한 권씩 나눠 읽고 각각 아내에게 들려주고 싶은 우리말을 두 개씩 가려 뽑아 아내를 향한 다정한 마음을 문장에 담았다.

 이들이 선택한 단어는 ▲귀꿈스럽다 ▲꽃무지개 ▲꽃밥 ▲나투다 ▲냇내 ▲덩클덩클 ▲마음자리 ▲무망 ▲버석거리다 ▲볕뉘 ▲아리잠직하다 ▲양글다 ▲엥기다 ▲오두마니 ▲와스락거리다 ▲잉걸 ▲좀생이별 ▲짚시락 ▲푸리푸릿 ▲희망.

 ‘혼불’ 1권을 읽고 ‘꽃밥’이란 단어를 선택한 정철성(전주대 교수) 문학평론가는 ‘당신과 내가 어설픈 솜씨로 꽃잎을 모아 꽃밥을 지어놓고 소꿉살림을 시작한 것이 그러니까 삼십여 년 전 그해 봄이었습니다.’라는 예문으로 소박하게 마음을 전했고, ‘혼불’ 8권에서 ‘귀꿈스럽다’를 뽑은 임희종(前 전주신흥고 교장) 문학평론가는 ‘당신은 나의 귀꿈스러운 면조차도 웅숭깊은 사람이라 여겨주었을 뿐 아니라 애지중지 세 아이 이렇게 곱게 키워주었으니 나 이제 당신을 위해서만 남은 생 살고 싶소.’라는 문장으로 절절한 속내를 털어놓았다.

 스무 개의 우리말은 그 의미와 ‘혼불’ 속 문장, 단어를 선택한 문학인들이 쓴 문장과 함께 소개된다. 단어의 의미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과 우리말샘을 참고했으며, 맞춤법과 띄어쓰기는 2023년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어문 규범을 기준으로 정혜인 교열가가 고쳤다.

 전시는 봄부터 여름까지 문학관 마당에서 열리며, 최명희문학관은 작년과 올해 만든 ‘초등학생도 알면 좋을 ‘혼불’ 속 우리말’과 ‘아내에게 들려주고 싶은 ‘혼불’ 속 우리말’ 목록도 관람객에게 나눠준다.

 이번 야외전시는 ㈔한국문학관협회의 ‘문학관 상주작가 지원사업’의 하나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후원한다.

 김미진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