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25>‘작은 서울[小京]’ 남원과 천추락(千秋樂)
[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25>‘작은 서울[小京]’ 남원과 천추락(千秋樂)
  • 김두규 우석대 교수
  • 승인 2022.05.19 17: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필자의 주소지 동계면은 행정구역상 순창이다. 그런데 어린 시절 집안의 큰일(생일·결혼·환갑 등)을 치를 때는 ‘순창장’(1·6일)으로 가지 않고 ‘남원장’(4·9일)이나 임실 ‘오수장’(5·0일)을 이용했다. 필자의 집에서 순창읍이 남원이나 오수보다 가깝다. 오수면은 1990년대까지만 해도 ‘오수면’이 아닌 ‘둔남면 오수리’였다. 어린 시절 이점이 궁금하기도 했다. 나중에 그 이유를 알았다. 남원과 오수는 ‘전라선’이라는 철도가 지나가고 그곳에 역이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순창은 철도가 통과하지 않는다. 철도 통과 여부는 그 지역 발전과 문물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서울과 전주의 신상품이 하행선 열차를 통해, 그리고 여수와 순천의 해산물이 상행선 열차를 통해 남원과 오수역에 내린다. 장이 클 수밖에 없다. 기차는 단순히 화물만을 실어 오가지 않는다. 더 큰 문물과 문화를 가져다준다. 세상에 빨리 눈을 뜨게 한다. 찻길·물길·산길·사람길은 지형지세에 따라 달라지며, 그로 인해 그곳 사람들의 빈부와 귀천에 영향을 끼침은 분명한 사실이다.

교통이 발달한 지금도 필자는 남원과 오수를 더 자주 활용한다(오수면은 임실군에 소속이나 과거 남원에 속했다). 왜 자주 가는 것일까? 어린 시절의 원초적 추억 탓일까? 우연히 ‘신증동국여지승람’ 남원도호부 편을 보고서 그 답을 찾았다. 책은 “신라 신문왕은 ‘작은 서울[小京]’을 두었으며, 100리 기름진 들판이라 천연자원이 풍부한 땅[沃野百里, 天府之地]”이라고 소개한다. 땅덩이가 좁은 조선 땅에서 ‘옥야천리(沃野千里: 기름진 땅 천리)’면 도읍이 들어선다. ‘옥야백리’면 ‘작은 서울’이 들어선다.

풍수 공부 때문에 자주 찾는다. 특히 사매면 서도리 ‘혼불문학관’은 풍수와 관계가 깊은 곳이다. ‘코로나 19’ 이전에는 학생들 답사지도 현장으로 한 번에 수십 명씩 인솔했다. 최명희 대하소설 ‘혼불’의 문학적 배경이자 고향이 이곳이다. 주차장에서 이어지는 돌계단을 통해 ‘혼불문학관’에 이르면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이 큰바위에 새겨진 문장이다. ‘혼불’의 한 대목이다.

“서북으로 비껴 기맥이 흐를 염려가 놓였으니, 마을 서북쪽으로 흘러내리는 노적봉과 벼슬봉의 산자락 기운을 느긋하게 잡아 묶어서, 큰 못을 파고, 그 기맥을 가두어 찰랑찰랑 넘치게 방비책만 잘 간구한다면 가히 백대 천손의 천추락만세향(千秋樂萬歲享)을 누릴 만한 곳이다 하고 이르셨다.”

“천추락만세향(千秋樂萬歲享)!” ‘천년의 가을을 즐기고, 만년의 세월을 누린다!’는 뜻이다. 영원히 복 받을 길지이다. 작가가 생전에 수도 없이 찾아왔던 곳이다(작가의 동생 최대범 선생 증언). 많은 관광객이 ‘혼불문학관’을 찾지만, 정작 안내표지판이 있는 “종택”은 잘 찾지 않는다.

‘매안 이씨’ 종부 3대의 이야기가 펼쳐지는 작품의 중심 무대이다. 지금도 종택 솟을대문이 작품 묘사처럼 우뚝 솟아 있다. 작가는 자신의 종택(삭녕최씨)을 “매안이씨” 종택으로 바꾸어 이야기를 펼쳤다.

종택 풍수의 특이점이다. 조선조 풍수와는 전혀 다른 공간배치로 전국에서 드문 일이다. 조선의 전통 풍수는 안채의 중심축을 뒷산[主山]에 맞춘다[背山]. 그런데 이곳 종택 뒷산에 등을 대지 않는다. 또 종택은 마을 한가운데 있기 마련인데 종택은 마을 맨 뒤에 있다. 종택 정문에서 앞을 바라보면---한번이 아닌 여러 번--- 언뜻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절묘한 풍수 터잡기와 공간배치이다. “천추락만세향(千秋樂萬歲享)!”을 염두에 원대한 포부가 담겨 있다. 독자들께서 직접 “종택” 현장에서 그 답을 찾기를 권해 드린다.

 

글 = 김두규 우석대 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