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19> 생거부안(生居扶安)과 사거순창(死居淳昌)
[풍수로 보는 전북 부흥의 길] <19> 생거부안(生居扶安)과 사거순창(死居淳昌)
  • 김두규 우석대 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
  • 승인 2022.04.07 16: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살아서는 부안이요[生居扶安], 죽어서는 순창[死居淳昌]”이라는 말이 있다. 부안은 풍부한 물산으로 살기가 좋고, 순창은 묘지 명당이 많다는 뜻이다. ‘사거순창’론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필자는 순창의 산하에서 풍수를 원초적 체험으로 배웠다. 어린 시절 부모님 사랑방은 ‘지관’들의 ‘여관’이었다.

원초적 체험 말고 두 소설을 통해 풍수를 배웠다. 하나는 금년 초 작고한 광주 민주화의 대부 송기숙 교수의 ‘자랏골의 비가’이다. 또 하나는 최명희 선생의 ‘혼불’이다. 소설 속에 풍수가 등장하는데, 그 내용이 개안(開眼)한 풍수사가 아니면 형상화할 수 없는 내용이었다. ‘혼불’을 통해 풍수의 ‘존재론’을 배웠다. 안타까운 인연이 맺어졌다. 1998년 소설가의 남동생 최대범 선생에게서 연락이 왔다. “누님(최명희)이 불치의 병으로 위독한데 전라북도에서 장지를 제공한다고 하니, 김 교수가 묏자리를 잡아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최명희 선생의 묏자리를 어디로 잡느냐? ‘혼불’의 문학적 무대가 된 남원 사매면이어야 할까? 아니면 최명희 선생이 태어나고 자란 전주여야 할까? 당시 남원시와 전주시가 서로 유치하려고 하였다. 필자 마음대로 정할 수 없었다. 최대범 선생더러 “누님 병상을 찾을 때 넌지시 여쭤보시라!”고 했다. 망설이던 최대범 선생은 병문안 자리에서 에둘러 물었다. “누님은 전주가 좋아, 남원이 좋아?” “당연, 전주이지!”

최명희 선생의 뜻에 따라 전주에 장지를 정했다. 전북대 북쪽 후문 연화마을에 작은 산이 있다. 그곳에 자리를 잡았다. 최명희 선생이 졸업한 전북대가 바로 앞에 있었고, 그 남쪽 한옥마을 부근에 생가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 묘역 근처에 덕진연못이 있는데 소설 ‘혼불’에 등장한다. 그렇게 해서 현재 최명희 선생의 묘지가 정해졌다. 최명희 선생의 묘지 하관 때 필자가 사회를 보았다. 하관식에는 장명수 우석대 총장, 김완주 시장 그리고 작가를 존경하는 많은 문인들이 참석하였다. ‘혼불’에 묘사된 풍수는 어떤 내용이었기에 필자가 그렇게 감동받았을까? 여러 장면이 등장한다. 그 가운데 백미는 다음 문장이다.

“경치고, 정신이고, 인생이고, 결혈의 묘처(妙處)는 오직 한 군데 아니면 많아야 두 군데에 불과할 것인즉, 이 자리를 소중하게 아끼고 잘 갊아서 제 생애를 다한 집을 세워야 하리라.”

그런데 무식한 촌민들이 결혈처(길지·吉地)를 몰라본다. “무지한 민촌 사람들이 적송이 어우러진 명당에다가 소들을 매어놓아 똥칠을 한다.” 작중 주인공 청암부인이 탄식하며 아들을 가르친다. “눈이 밝아야 세상이 바로 보이는데, 눈구녁 자리에 소똥을 범벅해 놓고 짐승이 짓이기게 해 놓은다면 그 인생이 걸어가는 앞길이 오죽할까?”(‘혼불’ 3권).

필자는 소설 속의 이야기로만 여겼다. 필자가 순창에 주소를 둔 것은 한때 길지가 많았기 때문이다. 우석대를 출퇴근하면서 보이는 순창의 길지마다 서려 있는 사연과 ‘터잡기 미학’을 읽어내는 것이 하루의 즐거움이었다. 신흥마을 앞의 ‘논두렁 명당’, 오동마을 앞의 ‘노서하전형(老鼠下田形)’, 석전마을의 ‘영구음수형(靈龜飮水形)’, 마흘 마을의 ‘말명당’ 등 숱한 이야깃거리를 순창이 가지고 있었다. ‘사거순창(死居淳昌)이란 말이 나온 이유이다. 모두 ‘미래문화유산’으로 충분하다. 이제는 하나둘 사라져 간다. 오동마을 앞 노서하전형 이야기이다. ‘늙은 쥐[老鼠]가 먹이를 찾아 밭으로 내려오는[下田] 모습과 같다’하여 생긴 명당이름이다. 들판에서 쥐가 노출되면 독수리 먹이가 될까 봐 주변에 소나무를 심어 쥐를 은폐케 하였다. 그런데 그곳에 대형 축사가 들어섰다. “눈구녁 자리에 소똥을 범벅해 놓았다.” 최명희 선생 ‘혼불’의 실제 상황이다. 무지하고 무식하다. 축사를 지은 자나, 허가를 내준 순창군청이나!

 

글 = 김두규 우석대 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