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조선소 수주 호황 속에도 보이지 않는 출구전략
군산조선소 수주 호황 속에도 보이지 않는 출구전략
  • 김혜지 기자
  • 승인 2021.04.27 19:21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거철만 되면 ‘군산조선소 재가동’ 이슈를 들고 나오는데 처음에는 뭔가 해결이 될 수도 있겠다는 희망이 컸지만, 이제는 별 기대감도 안 듭니다.”

국내 조선업 시장이 호황기를 맞고 있지만 군산조선소 재가동으로는 이어지지 않아 지역에서는 실망감만 커지고 있다.

군산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27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수익을 따지는 기업에서 요지부동인데 지자체든, 정치권이든 할 수 있는 게 있을까 싶다”며 “기업을 설득할만한 카드가 없는데 선박 물량이 넘치지 않는 이상 현재로선 군산조선소 재가동은 요원해보인다”고 말했다.

전북도와 조선해양플랜트협회 등에 따르면 올해 글로벌 발주량 1천24만CGT 중 국내에서 532만CGT를 수주했다.

점유율로 보면 한국이 52.0%로, 중국(41.6%), 일본(3.4%), 유럽(1.6%) 순이다.

이 중 현대중공업은 올해 1사분기(1~3월)에 23척을 수주했다.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지난 한해 동안 수주량이 33척임을 감안하면 눈에 띄게 개선된 셈이다.

코로나 사태 이전 수주 상황만 보더라도 회복세에 접어든 모양새다. 2017년에는 48척, 2018년에는 54척, 2019년에는 37척을 수주했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 백신 배포, 환경규제 대응 수요로 지난해 대비 발주량이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현대 측에서는 수주량이 증가했다고 곧바로 군산조선소를 재가동할 순 없다는 입장이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전년보다 나아졌다는 이유로 곧바로 재가동에 들어갈 순 없다”며 “최대 호황기일 때는 울산, 군산 등 조선소에서 100척도 넘게 만들었다. 그때 그때 물량에 따라 중단과 재가동을 반복하기에는 기업 입장에선 손실이 더 크다”고 말했다.

부지 환수 등 강력 조치를 통해 군산조선소의 재가동을 유도해야한다는 시각도 있지만, 법리검토 결과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산업단지관리공단은 지난 2019년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에 가동 촉구 및 시정명령을 내렸다. 현대 측은 ‘영업 중단이 아니라 언제든 조기 재가동을 할 수 있도록 유지관리를 하고 있다’는 입장을 냈다.

현대 측에서 경영 논리로 일관하다 보니 지자체와 정치권에서도 이렇다할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채 원론적 입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조광희 도 주력산업과장은 “군산조선소 재가동 요청은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면서도 “선박은 자동차와 달리 주문이 있어야 제작에 들어가는데 수주량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데 무조건 재가동을 강요할 순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신영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군산) 역시 “기업과 다각도로 논의하고 있다”면서 “조금 더 기다려달라”고 했다.

4년째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는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장기화될 것으로 보이자 일각에서는 차라리 다른 해법을 찾아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킬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도는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우선으로 하되 중소형 특수선박 중심 생태계 조성과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육성으로 대안을 찾겠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조 과장은 “5천억 규모의 특수목적선 선진화 단지 구축을 위해 6월까지 예비타당성 조사 대응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며 “군산조선소가 재가동이 안 된다고 조선해양 생태계가 완전히 무너지지 않게끔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혜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약속 2021-04-28 08:02:12
1년안에 가동안되면 국회의원직 사퇴한다고 공약했으니, 사퇴해서 최소한의 전북의 자존심을 보여라. 전북이 호구가 되어가는 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