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국가식품클러스터 육성 ‘식품 수도’ 기반 구축
[창간] 국가식품클러스터 육성 ‘식품 수도’ 기반 구축
  • 익산=김현주 기자
  • 승인 2020.11.19 18: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북아시장 선점 ‘식품메카’ 꿈꾼다

총 5천 353억 투입 70만평 규모 식품산업단지 조성 61.2% 분양
분양계약 체결 95개 기업 대부분 중·소 규모, 외국기업 단 1곳뿐
기반시설과 배후조성사업 확장 절실…특별법 국회 통과 성공 열쇠

  2009년 정부 주도로 추진된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가 지난 2017년 12월 준공됐다. 이 사업은 2007년 한미 FTA 협상 타결에 따른 국내 보완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당시 정부와 전라북도, 익산시는 익산을 중심으로 세계식품시장의 중심지가 되고 국내·외 식품기업들을 유치해서 식품산업 활성화를 꾀한다는 계획으로 국가식품산업단지를 조성해 지금에 이르렀다.

 10월말 기준 95개 기업이 분양계약을 체결했으며, 분양율은 61.2%에 이르고 있다. 앞으로도 식품기업의 투자유치 활동과 기업지원, 도로·항만·공항 등 기반시설 확충 및 배후조성사업 등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되어야 하는데 정부와 지역 정치권의 무관심으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정부 주관으로 추진한 국가식품클러스터 1단계 사업 이후 후속 연계사업을 진행해 아시아의 식품 수도로 거듭날 수 있을지 본보는 심층 분석·취재를 통해 게재한다.

식품기업의 기원지원과 성공적인 조성·관리를 위해 종합지원시설을 갖춘 지원센터가 설립됐다.
식품기업의 기원지원과 성공적인 조성·관리를 위해 종합지원시설을 갖춘 지원센터가 설립됐다.

 ■ 국가식품클러스터 산업단지조성 배경

 정부 주도하에 조성된 국가식품클러스터는 총 사업비 5,535억원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됐으며, 국내·외 식품산업을 선도하고 가공과 생산된 제품을 국내 및 해외로 수출하기 위한 전진기지를 만들기 위해 익산시 왕궁지역에 건설했다.

 식품산업단지는 232,000㎡(70만평) 규모로 국내·외 식품기업과 연구소 등 160여개를 유치한다는 목표로 조성됐다.

 여기에는 국내 우량기업을 대거 유치하고 해외 유명 식품기업들을 유치해 식품산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육성해 해외시장을 개척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수립했다.

 아울러, 입주기업들을 통해 매출 15조원, 2만2,000명의 고용 창출이 기대했다.

 특히, 네델란드 푸드밸리와 덴마크·스웨덴 외레순 클러스터, 미국의 나파벨리처럼 세계 거대 식품시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동북아 식품시장을 선점하고 성장 동력을 통해 전라북도와 익산이 식품시장의 메카로 거듭난다는 꿈을 꾸었다.

 특히, 오는 2050년 세계 인구는 97억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정부는 식품수요 확대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거대한 식품기반시설을 구축했다.

국가식품산단은 현재 95개 기업이 분양계약을 체결했으며, 분양율은 61.2%에 이르고 있다.
국가식품산단은 현재 95개 기업이 분양계약을 체결했으며, 분양율은 61.2%에 이르고 있다.

 ■ 95개 기업 분양계약 체결, 현재 61.2% 분양

  2017년 12월 익산 왕궁지역에 국가식품클러스터 산업단지가 조성된 후 투자유치와 입주기업의 기원지원 등 성공적인 조성·관리를 위해 종합지원시설을 갖춘 지원센터가 설립됐다.

 지원센터는 식품산업진흥법에 의해 설립됐으며, 식품산업단지에 입주한 기업들의 식품산업집적에 관한 정책개발 및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상호 연계활동 촉진, 국내·외 기업유치 전략 수립 및 유치활동, 홍보·마케팅 등을 수행한다.

 특히, 지원센터에는 식품기능성평가지원센터, 식품품질안전센터, 식품패키징센터, 파일럿플랜트, 식품벤터센터가 있으며, 각종 부대시설을 고루 갖추고 식품기업유치와 홍보에 중점을 두고 있다.

 지난 2월에는 국가식품클러스터 지원센터가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식품기업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10월말까지 분양현황을 살펴보면 95개 기업이 분양계약을 체결했으며, 분양률은 61.2%(708,000㎡)에 이르고 있다.

 이처럼, 식품클러스터 산업단지 조성, 지원센터 건립, 61.2%의 분양률을 보이고 있지만 지난 10년간 국비, 지방비, 민자 등 5,535억원을 들여 국책사업으로 조성된 국가식품산업단지가 성공하려면 적잖은 과제가 남아있다.

 ■ 국가식품클러스터 확장사업과 성공, 해결과제

 국내 최대 규모로 건설된 국가식품클러스터가 성공하려면 전라북도와 익산시 특히, 정부와 정치권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상호 공조를 해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고 있다.

 2009년 당시에는 식품산업단지를 조성해 국내·외 우량기업들을 대거 유치하고 인력 고용을 통해 대규모 일자리를 창출하고 식품수도로 거듭나기 위해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현재 여기에 입주한 기업들은 대부분 중·소 식품기업들이며 외국기업은 단 1곳에 불과한 설정이다.

 특히, 식품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과 함께 투자유치 활동 강화를 위한 기업지원, 도로·항만·공항 등 기반시설 확충 및 배후조성사업 등을 위한 특별법이 제정되어야 하는데 정부 각 부처의 첨예한 대립으로 특별법이 제정되지 못하고 있다.

 특별법은 지난 2018년 10월 당시 조배숙 국회의원이 발의했으나 2020년 5월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특별법이 폐기됐다.

 익산시는 1단계에 이어 확장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지만 정부에서는 강한 의지가 없고 특히, 지역 정치권이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난항을 겪고 있다.

 1단계 사업을 주도한 농식품부가 정부 관련 부처와 이견으로 확장사업추진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

 대규모 식품산업단지가 형성된 익산시는 1단계 사업 이후 확장을 배후조성사업 확장을 위해 현재 사업추진 타당성 용역을 진행하고 있으며 기재부를 적극 설득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해 폐기된 특별법을 지역 정치권들과 공감대를 형성과 협업을 강화하고 다시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익산시는 배후조성사업 확장과 이로 인한 기반조성 등을 조성해 국내 식품산업의 전진기지로 성장하기 위해 주어진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는 각오다.

 한병도 국회의원은 “익산의 지속 가능한 성장은 공공기관 유치와 기존 산업 육성만으로는 부족한 만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익산의 미래 먹거리가 될 수 있는 신산업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난해 8월 문재인 대통령이 ㈜하림 본사를 방문했을 때 이같이 밝혔다.

 정홍진 익산시 국가식품클러스터담당관은 “정부 주도로 조성된 국가식품산업단지가 지역의 작은 산업단지로 전락되지 않도록 익산시는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으며, 많은 식품기업들이 투자할 수 있도록 전략을 세워 홍보에 매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헌율 시장 “국가식품산단이 성공하려면 정치권이 나서서 특별법을 제정해야 합니다.”

 “국가식품클러스터가 2009년 첫 삽을 뜬 후 올해로 10년을 맞고 있습니다. 정부 주도로 추진한 국가식품산단이 성공한 산업단지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지역 정치권이 적극나서서 특별법을 제정하고 특히, 정부가 후속 사업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익산시는 정부 주도로 지난 2017년 12월 1단계 사업 준공 후 확장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정헌율 익산시장은 특별법 제정과 후속 사업은 정치권이 나서야 한다고 이같이 강조했다.

 정 시장은 “막대한 예산으로 건립된 국가식품클러스터는 국민과 전북도민들이 깊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특히, 식품기업들이 익산 왕궁에 자리잡기 위해 눈독을 들이고 있다”며 “익산시는 식품산업 융성과 발전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으며, 이미 협약을 맺고 가동하고 있는 기업들을 위해 행정을 지원하고 있지만 특별법이 제정되지 않아 지원하는 것에 한계에 부딪치고 있다”로 토로했다.

 이어, “시는 1단계 사업의 성공사례를 들어 확장조성을 위해 후속 사업추진 타당성 용역을 전북도와 함께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 시장은 “10월말 기준 95개사 분양계약을 체결했으며, 앞으로도 식품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혼신을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헌율 시장은 “국가식품클러스터 산업단지는 전북도와 익산시의 소유물이 아니다”고 전하며, “성공한 국가식품산업단지가 되려면 특별법 제정이 시급하고, 도로·항만·공항과 연계한 기반시설이 확충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정 시장은 “식품산업의 미래를 위해서는 지자체, 정치권, 정부가 깊은 관심을 갖고 50년, 100년을 내다보고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익산=김현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