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와 환경부 새만금 수질 측정 기준 논란
전북도와 환경부 새만금 수질 측정 기준 논란
  • 김혜지 기자
  • 승인 2020.10.21 20: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만금 해수유통’이 또다시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새만금 수질 측정 기준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수질 측정 기준이 법적으로 변경된 만큼 기존 측정 방식을 법에 맞게 바꿔야 새만금 수질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서다.

 전북도는 21일 “환경부가 지난 2013년 ‘환경정책기본법’을 개정하면서 수질 측정 기준을 TOC(총유기탄소량)로 변경했다”며 “TOC가 법에 근거한 기준이고 COD(화학적 산소요구량)보다 정확도가 높기 때문에 새만금 수질도 그에 맞게 측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TOC를 단계적 도입을 통해 2022년 전면 적용할 방침이다.

 그동안 새만금 수질 등급은 COD 등을 근거로 측정해 왔다. 도는 “COD는 전체 유기물질의 30~60%만 측정하고, 분석하는 데 1시간가량 걸리는 반면 TOC는 분해가 어려운 유기물질을 포함해 90%까지 분해할 수 있고 30분 안에 분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학계에서는 “TOC를 적용해 좀 더 정확하게 새만금 수질을 측정하고 예측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박영기 전북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COD와 TOC의 상관성을 고려해 새만금 수질에 대한 수치값을 계산해 보니 TOC로 측정하면 정부 목표 수질을 만족하지만, COD는 목표치를 초과해 수질이 나쁜 것으로 나온다”며 “보통 환산할 때 TOC값의 1.3~1.5배를 곱하는데 환경부 등에서는 1.7배 정도를 곱해 실제보다 수질을 나쁘게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새만금호 녹조’ 사진에 대해서도 “녹조현상은 한여름이나 수온이 높아질 때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이고, 기온이 떨어지면 사라진다”고 했다. 그러면서 “해수유통을 하면 오염물질이 바닥에 쌓여 퇴적토와 뭉치게 되고, 염수층과 담수층이 생겨 수질 개선 효과가 떨어진다”며 “새만금 개발과 수질 개선이 함께 가려면 방조제 수문을 열고 닫는 시기와 횟수 등을 최적화한 모델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김보국 전북연구원 박사는 “측정 기준 하나만 가지고 수질을 판단하기 어렵다. 생물 다양성 등 환경 변화에 대비해 수질 기준과 대책을 다시 손질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수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새만금 사업은 수십조원이 들어간 사업인데 여전히 전체 매립 예정 면적(291㎢)의 39.1%(약 114㎢)만 땅을 메웠다”며 “해수유통은 최후 수단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환경단체들은 “수질 측정 기준을 바꾼다고 해서 새만금호 수질이 나아진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엽합 선임활동가는 “만경강을 BOD로 따지면 3급수로 개선됐다고 하지만, 호수 기준인 COD를 적용하면 등급이 높게(수질이 나쁘게) 나오듯이 측정 기준에 따라 수질 등급은 다소 차이가 있다”며 “20년 넘게 COD와 T.P(총인)을 지표로 수년간 축적해 온 데이터를 토대로 예측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전문가들이 TOC를 더 객관적인 기준으로 보고 적용해야 한다면 거기에 맞춰 판단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전북도는 해수유통이 새만금 내부 개발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한순옥 전북도 새만금수질개선기획팀장은 “새만금 사업은 1991년 첫 삽을 뜬 뒤 지난해까지 29년간 10조6천500여억원을 쏟아부었다”며 “목표 수질 달성 여부 외에 새만금 내부 개발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 팀장은 “지금 해수유통을 하면 ▲염해 피해 ▲갑문 안전 문제에 따른 보강 작업 ▲해풍으로 인한 조경수 및 작물 피해 등이 발생해 막대한 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새만금 개발 계획 전체를 바꿔야 한다”고 했다.

 김혜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