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전북연구개발특구+강소연구개발특구 투톱 체제 다진다
[추석] 전북연구개발특구+강소연구개발특구 투톱 체제 다진다
  • 김혜지 기자
  • 승인 2020.09.28 17: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북연구개발특구를 농생명과 첨단소재 기반의 세계일류 연구개발(R&D) 허브로 조성하기 위한 전북테크비즈센터 기공식이 24일 전북혁신도시 만성동에서 열린 가운데 송하진 도지사, 송성환 도의장, 양성광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박성일 완주군수 등 참석자들이 기공시삽을 하고 있다.   신상기 기자
전북연구개발특구를 농생명과 첨단소재 기반의 세계일류 연구개발(R&D) 허브로 조성하기 위한 전북테크비즈센터 기공식이 지난해 전북혁신도시 만성동에서 열린 가운데 송하진 도지사, 송성환 도의장, 양성광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 박성일 완주군수 등 참석자들이 기공시삽을 하고 있다. 신상기 기자

전북연구개발특구는 전라북도의 과학기술 및 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혁신 클러스터 기반 지역산업 생태계 구축 및 혁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추진됐다.

대덕, 광주, 대구, 부산과 더불어 2015년 8월 광역 자치단체로 5번째로 지정된 전북연구개발특구는 전주, 정읍, 완주 일원에 16.3㎢(493만평) 규모로 조성돼 있다.

이와 함께 전북은 올해 7월 강소연구개발특구를 지정받음으로서 광역특구와 강소특구를 동시에 갖춘 전국 최초 유일 지역으로 주목되고 있다.

▲ 전북연구개발특구지정 후 폭풍성장 기록

전북특구는 2015년 지정된 이후 지난해 10월 전국 최단기간 연구소기업 100호 설립을 달성한 바 있고, 2018년도에는 특구평가에서 전국 1위를 달성한 바 있다.

전북특구가 지정된 이래 특구 내 입주 기업수, 매출액, 기술이전 등 각종 지표에서도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구 내 기업수는 2015년 411개에서 2018년 538개로 31% 증가했다. 최근 국내외 경제상황을 고려하면 매우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들 기업의 매출액도 2조4천268억원에서 3조7천199억원으로 53% 증가했고 고용인원은 1만6천76명에서 2만414명으로 27% 성장했다.

2018년 말 기준 연구소기업 총 매출액은 655억8천만 원, 고용은 360명으로 최근 3년간(2016~2018년) 평균 증가율은 각각 약 192%와 253%를 기록했다.

2015년도 315건이었던 기술이전 건수는 3년만에 1천621건으로 414%가 증가함으로서 전국 5개 특구지역 중 가장 활발한 기술이전 실적을 보였다.

창업의 경우, 아이디어 발굴 → 검증 → 멘토링 등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하여 총 154개사를 지원하였고, 특구기업에 대한 사업화 과제 76건 지원을 통한 신규고용 407명의 성과를 달성하기도 했다.

또, 특구 내 기업에 대한 기술금융 연계를 통해 77건의 투자에 287억6천만원의 자금을 지원하기도 했다.

 

▲ 전북특구 지정에 따른 기업 성장 우수사례

전북특구 연구소 기업은 이러한 양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도 우수한 사례를 만들어내고 있다.

전북도 1호 연구소기업 ㈜카이바이오텍은 새로운 항암치료 기술로 기술성 및 성장잠재력을 인정받아 창투사로부터 50억원 투자유치를 받은 바 있고, ㈜신드론은 모기업 ㈜헬셀을 역인수 합병(2018년 6월)해 국내 최대 규모 드론업체로 성장했다. 신제품 개발 및 시장 진입을 통해 설립 4년 만에 매출액 166억원을 달성한 바 있다.

㈜네프는 2017년도에 창업한 기업으로 당시 매출액 13억원, 고용 7명에서 2019년 매출액 40억원(207% 증가), 고용 11명(4명 증가) 기록을 냈다.

연구소 기업이란 대학, 출연(연) 등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직접 사업화하기 위해 ‘연구개발특구’내 설립된 기업으로, ‘지식창출-기술확산-창업’의 기술사업화 혁신 생태계를 완성하는 사업 모델이다.

특성상 규모는 작지만, 기술력을 갖춘 창업기업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할 때 향후 성장 가능성과 잠재력 등에서 향후 전북 경제의 꿈나무로 기대되고 있다.

 

▲ 전북특구, 지역 혁신 성장을 주도하다

전북특구본부는 매년 기술 공급자와 수요자를 효율적으로 연결하는‘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을 구축하기 위해 매년 약 100억원 규모를 전북특구 지역내 기업들에게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기술발굴 및 연계(13억5천만원), 기술이전사업화(51억원), 연구소기업 성장지원(11억8천만원), 기술창업 지원(13억원), 글로벌 교류협력(2억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외에도 투자활성화를 위한 엑셀러레이팅 확대와 연구개발특구펀드 투자, 유망기술 이전상담회 등도 추진되고 있다.

전병순 전북도 혁신성장산업국장은 “전북특구 지정 5년차를 맞은 전북특구와 금년도 지정된 군산 강소특구가 지역혁신성장의 쌍두마차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동경 전북특구 본부장은 “연구소기업 설립부터 기술사업화까지 맞춤형 지원을 통해 질 좋은 일자리 만들기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특구가 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군산 강소특구 지정까지…미래형 자동차 중심지로 ‘우뚝’

전북은 군산경제의 두 핵심축인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과 한국 GM 군산공장 폐쇄로 지역산업 및 고용에 악영향이 지속돼 왔다. 신성장동력 절실한 상황에서 전북도는 미래 성장동력이 될 친환경 전기차 및 부품소재 육성에 힘을 쏟았다. 군산대, 지자체,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연구개발 및 기술지원 정책 추진해온 결과, 지난 7월 군산 강소특구 지정을 받는 데 성공했다.

지역 상생형 일자리사업과 연계해 군산·새만금산단에 기술력을 갖춘 중소·중견, 벤처기업 중심의 전기차 산업생태계 조성해 완성차 및 전장 등 부품제조 기업유치를 통해 미래차 전진기지로 재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총 5년간(2021~2025) 360억원 투입에 따른 부가가치유발효과 273억원, 고용유발효과 152명, 생산유발효과 299억원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특구육성에 따른 기업 276개 입주와 기업 매출액 따른 생산유발 3조9천573억원이 예상되고 있다.

김혜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