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공공배달앱 개발 ‘만지작’
전북도, 공공배달앱 개발 ‘만지작’
  • 김혜지 기자
  • 승인 2020.09.27 14: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언택트 소비문화’가 확산되면서 각 지자체에서 공공 배달앱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배달의 민족’, ‘요기요’ 등 거대 대발업체의 배달수수료 횡포 논란이 커지자 지자체에서 직접 나서 폐해를 막겠다는 취지다.

이 같은 분위기에 전북도 역시 공공 배달앱 개발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앞서 군산시는 전국 최초로 공공앱 ‘배달의 명수’를 출시해 이목을 끌었다. 지난 4월부터 본격적인 영업에 나선 결과 매달 3만건, 7억원 안팎의 매출을 올리며 지역 발전 견인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았다. 현재 배달이 가능한 음식업체 3천여개 중 1천여개가 앱에 입점해있고, 1년 운영비는 1억8천만원이 투입된다.

군산시 관계자는 “다른 사업의 현금성 지원과 비교했을 때 1년에 10만원 꼴로 예산이 들어가 충분히 가치 있는 효과를 내고 있다고 본다”며 “지역 소상공인들에게는 과도한 광고료나 중개 수수료가 없다는 장점이 있고, 소비자들은 지역 화폐 사용이 가능해 결과적으로 10%가량의 할인 혜택을 받게 된다”고 말했다.

도내 일부 소비자들도 배달 수수료에 대한 불만이 커질 대로 커진 만큼 군산뿐만 아니라 나머지 13개 시·군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공공앱 개발을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도에서는 아무리 계산기를 두드려봐도 지역 여건상 투자 대비 수익이 저조할 것이라는 점, 자본시장에 지나친 개입에 대한 부담이 맞물리며 딜레마에 빠진 상황이다.

일각에선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 발맞춰가야 하는 만큼 효과를 내지 못한 채 자칫 ‘혈세 낭비’가 될 수 있다는 우려의 시각도 나온다.

안진 전북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시장이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지자체에서 앱을 개발해 지속적으로 운영이 유지되려면 상당한 예산이 들어갈 수밖에 없는데 과연 얼마나 오래 유지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특히나 전북은 시장규모가 서울, 수도권에 비해 작고, 인구가 적은 군 단위에서는 앱 이용이 어려운 노년층이 많기 때문에 투자 대비 효용성이 미미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공공에서 시장에 개입하는 것은 공정하게 이뤄져야할 시장 경쟁 구조를 흔들리게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유대근 우석대 유통통상학부 명예교수는 “앱 개발뿐만 아니라 ‘결제수단-배달앱-업체’ 간 연결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이뤄져 소비자들의 이용 편리성을 보장해주는 것이 관건이다”며 “지자체에서 이 모든 작업을 하기에는 인력과 예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직접 개입하기보다는 도내 관련 민간 기업이 자립할 수 있도록 일정기간 지원, 육성해주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민정 한국여성소비자연합 전북지회 소비자정보센터 부장 “현재 지자체에서 꺼내든 공공 배달앱은 지역 소상공인, 사업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측면이 더 커 보인다”며 “수요자인 소비자들 입장에서 본다면 민간앱보다 공공앱이 제공하는 혜택이 얼마나 차별성이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더 필요해보인다”고 말했다.

김혜지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