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끝나지 않는 ASF(아프리카돼지열병), 지속적인 경각심 유지 필요
아직도 끝나지 않는 ASF(아프리카돼지열병), 지속적인 경각심 유지 필요
  • 황영주 농협경주교육원 교수
  • 승인 2020.08.05 14: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로 집밥족이 늘면서 가정 내 돼지고기 수요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삼겹살부터 막창까지 돼지고기는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귀한 대표 먹거리이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집중호우와 무허가 돼지 사육으로 인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방역에 비상이 걸리고 있다. 우리의 대표 먹거리가 위협을 받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를 공포에 떨게한 ASF가 2019년 9월 우리나라에서도 발병하면서 가축질병 위기단계의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가 발령되었으며 아직도 유지중이다. 이 바이러스는 얼려도 1000일을 버티고 바짝 말려도 1년 가까이 살아남는데, 급성형에 감염되면 치사율은 거의 100%에 이른다. 사람과 다른 동물은 감염되지 않고 돼지과에 속하는 동물만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ASF의 대표적인 전파 경로 중 하나가 사람들이 먹고 남긴 음식물을 통한 감염이다. 사람이 먹다 남긴 음식물로 인한 ASF발병률은 전체의 30~40%에 이른다. 또 다른 전파경로로 야생 멧돼지가 꼽힌다. 야생 멧돼지를 막기 위한 ‘이중펜스’설치가 유럽에서는 일상화 돼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그렇지 않다. 감염된 북한의 야생 멧돼지가 접경지대를 넘어오지 못하도록 해야 하는 이유다. 

 하지만 ASF 양성 야생멧돼지 발견이 지속되고 있으며 폭우로 인한 광역울타리 훼손으로 인해 야생멧돼지가 자유롭게 남하할 수 있는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ASF 야생멧돼지 매몰지는 집중호우로 인해 침출수가 유출될 우려까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사체를 통한 전파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사체관리의 중요성이 필요한 이유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무허가로 가축을 사육하고 잔반을 급여하는 농가가 발생하지 않도록 오는 8~9월 전국적으로 일제 집중점검을 실시하고 무허가로 가축을 사육하는 농가에 대해서는 고발 조치할 계획이다. 방역당국은 향후 멧돼지 남하 차단을 위한 포획 강화 및 광역울타리 등 관리를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며 지역주민들은 장마철 강우로 울타리가 손상될 경우 관계기관에 신속하게 신고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는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매몰 위치를 선정하고 매몰지에 복토와 성토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SF방역에 취약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경각심 유지가 필요할 때이다.
 

 황영주  농협경주교육원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