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례시 선정기준 사회적 합의 급하다
특례시 선정기준 사회적 합의 급하다
  • 이방희 기자
  • 승인 2020.07.14 15: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0만 이상 대체적 합의… 50만 이상은 제대로 합의 안돼

 특례시 선정 기준에 대해 사회적 합의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인구 100만 이상의 시를 특례시로 정하는 기준에는 대체적으로 합의가 있으나 50만 이상 등의 시와 더불어 인구 이외 고려할 추가적 요인에 대한 합의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지적은 국회입법조사처(처장 김하중)가 14일 발간한 ‘지방자치단체 특례시 제도 도입 현황과 주요 쟁점’을 다룬 ‘이슈와 논점’ 보고서에서 밝혀졌다.

제21대 국회에 대도시 특례제도의 일환으로 특례시 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지방자치법 개정안들이 제출된어 있다.

특례시는 특별시와 광역시가 아닌 일반시 중에서 특정 요건(인구 100만 이상, 50만 이상 등)을 갖출 경우 지정해 행·재정 및 국가 지도·감독의 특례를 부여하는 것이다.

국회입법조사처가 밝힌 특례시를 둘러싼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례시를 지방자치단체의 종류로 포함할지 여부이다. 정부안과 의원안 다수에서는 특례시를 기초자치단체로 포함하지 않았고 대도시 특례 부여를 위한 행정명칭으로 사용하는것으로 되어 있다.

둘째, 특례시 선정 기준으로 인구 규모와 기타 요인에 대한 고려이다.

셋째, 특례시의 지위와 권한에 대한 논의이다. 특례시가 될 경우 지니게 될 권한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고 아울러 권한의 이양에 따른 인력과 예산에 대한 논의도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입법조사처는 “향후 지역 간 차등분권과 지역 균형발전 간에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특례시 제도의 개선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방희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