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 전북 정치, 새로운 권력 탄생
21대 국회 전북 정치, 새로운 권력 탄생
  • 전형남 기자
  • 승인 2020.05.28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1대 국회 전북 정치문화 달라지고 있다. <중>새로운 권력 탄생

당지도부·중앙 입김 사라지고
권리당원·여론조사 막강 파워

“누가 더 많은 권리당원을 확보하느냐에 따라 민주당 공천이 결정됩니다.”

4·15 총선 당시 민주당 후보 경선을 앞둔 모 후보는 권리당원의 중요성을 이같이 설명했다.

총선과 지방선거 등 주요 선거에서 위력을 떨쳤던 당 지도부 등 중앙당 몇몇의 실세 권력이 약화되고 권리당원이 정치의 중심에 서는 권력의 이동이 4·15 총선을 전후로 시작됐다.

전북지역 민주당 공천과정과 결과는 과거와 현재의 정치권력을 쉽게 보여주고 있다.

민주당은 4·15 총선때 전북 10개 선거구의 공천을 진행했지만 단 한곳도 중앙당 입김에 따라 공천은 하지 않았다.

총선후보 자격심사와 공천관리위원회의 룰에 따라 공천을 진행하고 단수공천과 경선지역을 결정했다.

경선을 실시하지 않은 단수공천 지역도 당헌·당규에 따른 여론조사 등을 토대로 결정했다.

민주당이 참패한 지난 20대 총선때 전북 지역구 10곳 중 단 2곳에서 공천을 위한 경선을 실시했던 것과 비교된다.

당 지도부가 좌지우지 했던 정치권력의 약화는 곧바로 권리당원들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등 새로운 권력을 낳았다.

특히 이 과정에서 권리당원을 많이 확보하고 있는 ‘권리당원 큰 손’이 전북 정치의 중심부로 자리를 이동했다.

민주당 국회의원 당선자는 28일 4·15 총선 경선을 언급하며 “500명의 권리당원을 확보한 사람도 있었다”라며 “결과적으로 민주당 공천을 받으려면 권리당원을 많이 갖고 있는 ‘큰 손’들과 관계가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지난 4·15 총선때 전북 지역구별 권리당원 규모는 평균 7천여 명이었다.

단순 계산으로 권리당원 표심에 결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큰 손’들 몇명만 확보하면 민주당 공천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정치권은 특히 상향식 공천이 정착되면서 시·도의원, 단체장 등 지방정치의 영향력 강화도 전북 정치의 새로운 문화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중앙과 지방 정치권의 상하관계가 최근 수평적 관계로 전환되고 있는 것도 상향식이 전북 정치의 주류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국회의원 지역위원회내에서 지방의원은 조직의 실핏줄로 비유된다.

지역구 상황에 따라 미세한 차이는 있지만 총선에 출마하는 후보의 경쟁력은 지방의원들과 유대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대 낙선의 아픔을 딛고 21대 총선 승리로 재선에 성공한 민주당 김윤덕 의원(전주갑)의 경우가 대표적 사례다.

지난 총선에서 전주 갑 시·도의원중 단 한명도 이탈자 없이 김 의원의 총선 승리를 위해 권리당원 확보에 총력전을 펼친것으로 알려졌다.

후보 경선에서 정치신인과 여성후보 가산점 등을 생각하면 김 의원 입장에서 권리당원을 많이 확보하고 투표에 참여시키는 것이 승리의 방정식 해법 이었기 때문이다.

전북 정치권 모 인사는 “수천명, 많게는 1만명이 넘는 대규모 권리당원을 확보하려면 시·도의원 도움이 절대적”이라며 “결국 권리당원 확보를 통해 지방의원의 위상이 높아지는 계기가 될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서울=전형남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