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은 ‘코로나19’ 와 관련하여 사회적 통합에 앞장서야 한다
언론은 ‘코로나19’ 와 관련하여 사회적 통합에 앞장서야 한다
  • 김선남
  • 승인 2020.05.05 10: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라는 예상하지 못한 위기를 겪으면서 국민들은 이에 대응하고 극복하기 위해 언론, 특히 지상파 TV를 많이 의존하고 있다. KBS 공영미디어연구소 조사결과에 의하면 우리 국민은 매일 평균 5회에 걸쳐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얻는데, TV방송이 가장 우세한 취득경로였다. 수치로만 보면 미디어 의존도는 가히 절대적인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재난 관련 뉴스보도는 반드시 보도준칙을 지켜 객관성과 공정성을 담보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조사에 의하면 ‘코로나19’와 관련한 대응에서 언론(63.7%)은 의료기관(93.2%), 지방자치단체(77.2%), 정부(74.4%)보다 낮은 신뢰도를 기록했다. 이 조사에서 많은 응답자는 언론이 ‘코로나19’를 보도함에 있어서 정보 확실성 및 보도량, 현장취재 등의 측면에서 더욱더 신중함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KBS 공영미디어연구소 조사에서도 56%의 응답자들은 국내 언론이 검증되지 않은 정보나 뉴스를 전달한다고 생각하였다.

 실제로 일부 언론들은 ‘코로나19’를 보도하면서 기본적인 보도준칙을 여러 차례 위반했다. 한 일간지는 사설에서 허위사실을 다룬 것이 문제가 되어서 정정보도 조치를 당했다. 또 어떤 종합편성 TV채널은 사실과 다른 내용과 미확인 사실을 마치 사실인 것처럼 보도하여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법정제재(주의)를 받았다.

해당 언론사들은 사실 확인 없이 타 매체의 보도내용을 인용하다 보니 빚어진 일이라는 변명 같지 않은 변명을 내놨다. 아무리 생각해도 궁색하고 구차한 변명으로 들린다. 이 변명을 듣고 언론학자의 한 사람으로서 그리고 독자의 한 사람으로서 마음이 매우 불편했다.

 이번 ‘코로나19’ 보도에서 나타난 심각성은 취재보도의 윤리성 실종이 특정언론에 한정되지 않고 언론사 전반에서 퍼져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는 허위보도나 왜곡보도는 취재환경이 열악하여 공정하고 객관적인 취재활동을 수행하기 어려운 소규모 언론사의 일탈로 여겨왔다. 그러나 이번 ‘코로나19’보도로 그런 기존의 인식이 깨졌다. 주류 혹은 대규모의 언론사들도 이런 불공정한 언론행위에 스스럼없이 참여하는 것이 밝혀졌다. 심히 염려되는 현상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국내 5개 언론단체는 자체적으로 재난보도준칙을 마련하여 이를 지키겠다고 천명한 바 있다. 그러나 최근에 보여준 ‘코로나19’보도는 이런 의지와 각오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 많은 언론이 경쟁적으로 부정확한 보도, 베끼기 보도, 왜곡보도 등을 하고 있다. 또 ‘대혼란’, ‘패닉’, ‘창궐’, ‘뚫렸다’ 등과 같은 감정적인 단어를 사용하여 선정적인 보도 관행에도 참여하고 있다.

‘코로나19’와 같은 국가적 재난과 관련된 보도가 왜곡될 경우 보도는 피해자의 권리를 침해할 뿐만 아니라 큰 사회적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재난보도는 어느 때보다 원칙에 충실한 보도가 되어야 한다. 우리가 정보생산의 주체인 언론, 특히 방송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최근 유관기관 가운데 하나인 언론중재위원회가 공정보도의 실천을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언론중재위원회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발 빠르게 전담중재부를 설치해서 코로나19 확진자 및 가족 신상·사생활 침해, 특정 지역 차별적·경멸적 표현, 개인적·사회적 법익침해 보도를 면밀하게 심의하여 언론사에 시정권고를 내리고 있다. 여간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정보생산의 주역인 언론기관들도 하루빨리 이러한 움직임에 동참하여 ‘코로나19’ 관련 보도의 객관성과 공정성에 대한 국민의 의문을 해소 시켜주기 바란다.

 김선남  (원광대 행정언론학부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